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버티포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2020년대 들어서 [[도심항공교통]](UAM) 개념이 급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은 미래의 새로운 도심교통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UAM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수직이착륙]] 비행체로 도심교통이라는 특성상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심교통항공 수단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공항]]이라는 의미로 [[버티포트]]라는 용어가 새롭게 등장했다.  
2020년대 들어서 [[도심항공교통]](UAM) 개념이 급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은 미래의 새로운 도심교통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UAM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수직이착륙]] 비행체로 도심교통이라는 특성상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심교통항공 비행체가 이용하는 [[공항]]이라는 의미로 [[버티포트]]라는 용어가 새롭게 등장했다.  


== 현황 ==
== 현황 ==
23번째 줄: 23번째 줄:
* 스카이포츠(Skyports)
* 스카이포츠(Skyports)
* 롯데건설
* 롯데건설
== 기타 ==
[[헬리콥터]]가 뜨고 내리는 헬리포트와는 구분된다. [[버티포트]]는 대중교통수단인 만큼 대개 더 넓은 공간을 요구하며 다수 기체가 동시에 이착륙하는 시설이 필요하다.


== 참고 ==
== 참고 ==

2024년 3월 3일 (일) 17:08 기준 최신판

버티포트(Vertiport)

수직(Vertical) 이착륙 가능한 비행체가 뜨고 내리는 시설(port)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2020년대 들어서 도심항공교통(UAM) 개념이 급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은 미래의 새로운 도심교통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UAM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수직이착륙 비행체로 도심교통이라는 특성상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심교통항공 비행체가 이용하는 공항이라는 의미로 버티포트라는 용어가 새롭게 등장했다.

현황[편집 | 원본 편집]

해외[편집 | 원본 편집]

어반에어포트社가 추진하고 현대자동차가 협력 중인 에어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국내[편집 | 원본 편집]

  • 2022년 기준 우리나라 롯데건설, GS칼텍스 등이 국내 버티포트 건설 기술 개발에 나섰다.[1][2]
  • 2023년 포스코, 한국공항공사, 한화가 공동으로 UAM 이착륙장 공동개발을 시작했다.[3]

주요 기업[편집 | 원본 편집]

  • 어반에어포트
  • 페로비알(Ferrovial)
  • 어반V(Urban V)
  • 스카이포츠(Skyports)
  • 롯데건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헬리콥터가 뜨고 내리는 헬리포트와는 구분된다. 버티포트는 대중교통수단인 만큼 대개 더 넓은 공간을 요구하며 다수 기체가 동시에 이착륙하는 시설이 필요하다.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