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 두 판 사이의 차이

157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2월 19일 (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end=
|end=
|age={{나이|2017|7|27}}
|age={{나이|2017|7|27}}
|airplane=5대
|airplane=6대
|pax=671,483명(2023년)
|pax=671,483명(2023년)
|revenue=3,751억 원(2023년/별도)
|revenue=3,751억 원(2023년/별도)
40번째 줄: 40번째 줄:
}}{{:에어프레미아 취항}}
}}{{:에어프레미아 취항}}


=== 경영권 변동 ===
=== 경영 상태 ===
2024년 9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았다. 자본잠식률이 2021년 75.4%, 2022년 66.9%에서 2023년 82.1%로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항공사업법]]상 재무구조 개선명령 이후 2년간 자본잠식이 지속되면 [[항공운송사업]] 면허가 정지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2023년 말 부채비율이 2248%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온글
=== 화물사업 진출===
| 온글 =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변동
}}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변동}}
 
===화물사업 진출===
2024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우선협상대상자로 [[에어인천]]이 선정되면서 [[화물기]]를 이용한 화물사업은 당분간 어렵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99346 아시아나 화물사업 입찰에 4개 국내 항공사 참전(2024.2.2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47303 아시아나 화물사업, 에어인천 품에 … 대형 화물 항공사로(2024.6.14)]</ref>
2024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우선협상대상자로 [[에어인천]]이 선정되면서 [[화물기]]를 이용한 화물사업은 당분간 어렵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99346 아시아나 화물사업 입찰에 4개 국내 항공사 참전(2024.2.2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47303 아시아나 화물사업, 에어인천 품에 … 대형 화물 항공사로(2024.6.14)]</ref>
{{참고
{{참고
74번째 줄: 70번째 줄:
!클래스!!좌석수!![[피치(좌석)|피치]]!!운임!!비고
!클래스!!좌석수!![[피치(좌석)|피치]]!!운임!!비고
|-
|-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56석||42인치||기존 FSC 이코노미클래스의 1.6~2배 수준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56석 ||42인치||기존 FSC 이코노미클래스의 1.6~2배 수준
|프레미아 42
|프레미아 42
|-
|-
86번째 줄: 82번째 줄:
!자격
!자격
!혜택
!혜택
!승급 기준
! 승급 기준
|-
|-
|BLUE
|BLUE
109번째 줄: 105번째 줄:
|
|
*1,000원 당 15포인트 적립
*1,000원 당 15포인트 적립
*위탁수하물 무상 추가 4회
* 위탁수하물 무상 추가 4회
*전 좌석 무상 지정 2회
*전 좌석 무상 지정 2회
*좌석 [[업그레이드]] 2회
*좌석 [[업그레이드]] 2회
129번째 줄: 125번째 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4년 12월
|+2025년 2월
|-
|-
!항공기!!보유!!주문!!비고
!항공기!!보유!!주문!!비고
157번째 줄: 153번째 줄:
}}
}}


===국제선===  
===국제선 ===  


*2021년 [[12월 24일]], 첫 국제선(인천-싱가포르 [[화물]]) 취항
*2021년 [[12월 24일]], 첫 국제선(인천-싱가포르 [[화물]]) 취항
*2022년 [[7월 15일]], 첫 국제선 여객노선(인천-싱가포르) 취항
* 2022년 [[7월 15일]], 첫 국제선 여객노선(인천-싱가포르) 취항
*2022년 8월, 튀르키에 앙카라 부정기 취항(2022.08.27~11.05), (2022.12.29~2023.03.16)
*2022년 8월, 튀르키에 앙카라 부정기 취항(2022.08.27~11.05), (2022.12.29~2023.03.16)
*2022년 10월, 인천~호찌민 정기편 취항 / 2호 정기노선 (23.09.01 단항)
*2022년 10월, 인천~호찌민 정기편 취항 / 2호 정기노선 (23.09.01 단항)
177번째 줄: 173번째 줄:


*2022년 [[12월 19일]], [[인천공항]]에서 [[견인]]하던 중 우측 날개가 비엔티안으로 출발 대기하던 [[Lao Airlines|라오항공]] 꼬리 날개와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라오항공]] 여객기(A320)에 118명 승객이 타고 있었으나 부상을 입은 승객은 없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9453 라오항공,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날개 충돌(2022.12.19)]</ref>
*2022년 [[12월 19일]], [[인천공항]]에서 [[견인]]하던 중 우측 날개가 비엔티안으로 출발 대기하던 [[Lao Airlines|라오항공]] 꼬리 날개와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라오항공]] 여객기(A320)에 118명 승객이 타고 있었으나 부상을 입은 승객은 없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9453 라오항공,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날개 충돌(2022.12.19)]</ref>
*2025년 1~2월 대규모 지연·결항: 항공기 한 대에 정비(엔진)가 발생하면서 그라운드 되면서 한 달여 동안 무려 78개 항공편이 24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결항]]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가 발생해 부품 공급이 원활치 않고 이에 따라 교체해야 할 엔진 공급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4627 에어프레미아 지연·결항 사태, 언제까지(2025.2.19)]</ref>


==기타==
==기타==
185번째 줄: 182번째 줄:
|+2024년 12월 기준
|+2024년 12월 기준
!주주
!주주
!비중(%)
! 비중(%)
!비고
!비고
|-
|-
|[[AP홀딩스]]
|[[AP홀딩스]]
|30.42%
|46%
|[[김정규]] 회장 + 문보국
|[[김정규]] 회장 + 문보국
|-
|-
|[[JC파트너스]]
|[[JC파트너스]]
|30.12%
| 11%
|제이씨에비에이션+제이씨성장지원 (JC파트너스) 소노인터내셔널 (2025.6)
|제이씨에비에이션+제이씨성장지원 (JC파트너스)
|-
|[[대명소노그룹]]
|11%
|[[소노인터내셔널]], 대명소노시즌 (2025.6 JC파트너스 지분 인수 콜 옵션 보유)
|-
|-
|[[박봉철]]
|[[박봉철]]
208번째 줄: 209번째 줄:
|
|
|-
|-
|김정규
| 김정규  
|1.02%
|1.02%
|
|
218번째 줄: 219번째 줄:
<section end="airpremia_share" />
<section end="airpremia_share" />


2023년 7월, JC파트너스는 지분 절반(21.4%)을 AP홀딩스에 매각했다. AP홀딩스는 타이어뱅크 김정규 회장과 문보국 전 레저큐 대표가 합작 설립한 법인이다. (JC파트너스 35.3%, AP홀딩스 30.4%)<ref>[http://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3070380164 JC파트너스, 에어프레미아 지분 절반 AP홀딩스에 매각…공동 경영 체제로(2023.7.3)]</ref>
[[분류:온글]]
[[분류:참고]]
[[분류:항공사]]
 
===경영권 변동===


2024년 [[3월 15일]], AP홀딩스가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13.2% 인수해 최대주주가 됐다.(AP홀딩스 43.6%, JC파트너스 22.1%)<ref>[https://www.number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84 AP홀딩스, ‘에어프레미아’ 최대주주 됐다(2024.3.20)]</ref>
{{온글
| 온글 =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변동
}}
{{#lst:에어프레미아 경영권 변동|admin_change}}


2024년 10월, [[소노인터내셔널]]이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50%를 인수했다. 2025년 6월 이후 잔여 50% 인수 콜옵션을 포함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81185 대명소노그룹, 이번엔 에어프레미아 지분 매입(2024.10.15)]</ref>
[[분류:에어프레미아]]
[[분류:온글]]
[[분류:참고]]
[[분류:항공경영]]
[[분류:항공사]]
[[분류:항공시장]]


===지배 구조===
===지배 구조===
237번째 줄: 250번째 줄:


<references />
<references />
[[분류:온글]]
[[분류:참고]]
[[분류: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