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F: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A330-300p2f-1.jpg|섬네일|A330-300P2F]]
[[파일:A330-300p2f-1.jpg|섬네일|A330-300P2F]]'''P2F'''


==P2F==
'Passenger To Freighter' 의미로 [[여객기]]에서 [[화물기]]로 개조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에어버스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에어버스와 [[ST Engineering Aerospace|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터 [[EFW]]가 화물기 개조사업을 수행하고 있다.<ref>[https://www.elbeflugzeugwerke.com/en/freighter-conversion/ EFW freighter Conversion]</ref>
 
'Passenger To Freighter' 의미로 [[여객기]]에서 [[화물기]]로 개조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에어버스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에어버스와 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터 EFW가 화물기 개조사업을 수행하고 있다.<ref>[https://www.elbeflugzeugwerke.com/en/freighter-conversion/ EFW freighter Conversion]</ref>


==전환대상 기종==
==전환대상 기종==
19번째 줄: 17번째 줄:
===A320/A321(A321P2F)===
===A320/A321(A321P2F)===


[[에어버스]]와 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처 Elbe Flugzeugwerke(EFW)는 2020년 [[2월 25일]], A321P2F 프로그램에 대해 유럽항공안전청([[EASA]])로부터 추가형식증명(STC)을 획득했다.
[[에어버스]]와 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처 Elbe Flugzeugwerke([[EFW]])는 2020년 [[2월 25일]], A321P2F 프로그램에 대해 유럽항공안전청([[EASA]])로부터 추가형식증명(STC)을 획득했다.


* 적재량 : 27.9톤 / 최대 24개 [[콘테이너]] ([[메인데크]] 14개, [[화물실]] 10개)
* 적재량 : 27.9톤 / 최대 24개 [[콘테이너]] ([[메인데크]] 14개, [[화물실]] 10개)

2023년 9월 30일 (토) 20:28 기준 최신판

A330-300P2F

P2F

'Passenger To Freighter' 의미로 여객기에서 화물기로 개조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에어버스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에어버스와 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터 EFW가 화물기 개조사업을 수행하고 있다.[1]

전환대상 기종[편집 | 원본 편집]

화물기로 개조된 A321 내부

A300/A310/A300-600P2F[편집 | 원본 편집]

1993년부터 에어버스 광동체 여객기를 대상으로 약 200대 가깝게 화물기로 개조했다.

A330(A330P2F)[편집 | 원본 편집]

에어버스 A330-200, -300 여객기를 화물기로 전환. 2017년 DHL에 A330-300P2F 첫 개조 화물기를 출고했다.[2]

A320/A321(A321P2F)[편집 | 원본 편집]

에어버스와 ST에어로스페이스의 조인트벤처 Elbe Flugzeugwerke(EFW)는 2020년 2월 25일, A321P2F 프로그램에 대해 유럽항공안전청(EASA)로부터 추가형식증명(STC)을 획득했다.

사상 처음으로 개조(여객기→화물기)된 A321 항공기는 2020년 10월 콴타스 화물기로 비행을 시작했다.[3] 2021년 1월 7일 타이탄항공도 개조기를 도입해 운용을 시작했다.[4]

EFW가 A320-200 기종을 기반으로 개조한 A320P2F(D-AAES), 2021년 12월 8일 초도 비행 실시했다. 메인데크에 컨테이너 10개, 팔레트 1개, 하부데크에는 컨테이너 7개 탑재 스페이스로 최대 21톤의 탑재능력을 갖추고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