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1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 매각과 회생: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3번째 줄: 3번째 줄:
국적 [[저비용항공사]] [[이스타항공]]이 경영 위기를 겪으며 매각 시장에 나왔다. [[제주항공]]이 인수 의사를 밝히고 2019년 말부터 실사 작업을 진행해 두 차례 기한 연장 끝에 2020년 3월 2일 최종 매각에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고 인수를 둘러싼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결국 2020년 [[7월 23일]] 매각은 무산됐다.
국적 [[저비용항공사]] [[이스타항공]]이 경영 위기를 겪으며 매각 시장에 나왔다. [[제주항공]]이 인수 의사를 밝히고 2019년 말부터 실사 작업을 진행해 두 차례 기한 연장 끝에 2020년 3월 2일 최종 매각에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고 인수를 둘러싼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결국 2020년 [[7월 23일]] 매각은 무산됐다.


이후 이스타항공은 재매각 작업을 진행했고 사모펀드 2곳과 접촉하면서 주관사 선정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0914 이스타항공, 재매각 위한 주관사 선정 ·· 재생 전망 불투명]</ref>
이후 이스타항공은 재매각 작업을 진행했고 사모펀드 2곳과 접촉하면서 주관사 선정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0914 이스타항공, 재매각 위한 주관사 선정 ·· 재생 전망 불투명]</ref> 2021년 6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내정된 [[성정]]이 최종 공개입찰에 참여한 쌍방울([[광림]])을 제치고 최종 인수자로 결정됐다.<ref name=":0">[https://airtravelinfo.kr/column/1424576 이스타항공, 새 주인 결정됐지만 정상화는 산 넘어 산]</ref>


==이스타항공 재무 위기==
==이스타항공 재무 위기==
125번째 줄: 125번째 줄:
* 2021년 [[5월 20일]],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7월 20일]]로 두 달 연장
* 2021년 [[5월 20일]],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7월 20일]]로 두 달 연장
* 2021년 [[6월 14일]], 본입찰에 쌍방울([[광림]]) 참여.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우선매수권자로 선정된 [[성정]]과 2파전
* 2021년 [[6월 14일]], 본입찰에 쌍방울([[광림]]) 참여.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우선매수권자로 선정된 [[성정]]과 2파전
* 2021년 [[6월 18일]], 서울회생법원, 성정을 이스타항공 최종 인수자로 결정
* 2021년 [[6월 18일]], 서울회생법원, 성정을 이스타항공 최종 인수자로 결정<ref name=":0" />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