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북극항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17번째 줄: 17번째 줄: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조사한 북극항로의 방사선량 연구를 통해서는 실제 방사선량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나 [[FAA]]가 권고한 방사선 연간 기준치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조사한 북극항로의 방사선량 연구를 통해서는 실제 방사선량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나 [[FAA]]가 권고한 방사선 연간 기준치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그러나 항공 승무원에 대한 우주 방사선 피폭 피해는 사실로 인정받는 분위기다. 우리나라도 2021년부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항공 승무원이 신청한 우주 방사선으로 인한 질병으로 산업재해 판정을 받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6266 아시아나 승무원도 우주 방사선 산재 인정]</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4625 조종사도 우주 방사선 피폭 산재 인정]</ref> 이와 관련해 2021년 우리나라 [[국토교통부]]는 항공 승무원에 대한 연간 우주 방사선 피폭량 제한을 대폭 강화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1643 항공 승무원 방사선 피폭량 한도 10분 1로 축소, 24일 시행]</ref>
항공 승무원에 대한 우주 방사선 피폭 피해는 사실로 인정받는 분위기다. 우리나라도 2021년부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항공 승무원이 신청한 우주 방사선으로 인한 질병으로 산업재해 판정을 받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6266 아시아나 승무원도 우주 방사선 산재 인정]</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4625 조종사도 우주 방사선 피폭 산재 인정]</ref> 이와 관련해 2021년 우리나라 [[국토교통부]]는 항공 승무원에 대한 연간 우주 방사선 피폭량 제한을 대폭 강화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1643 항공 승무원 방사선 피폭량 한도 10분 1로 축소, 24일 시행]</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