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0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와 항공기 운항 중단: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9번째 줄: 9번째 줄:
2019년 말에서 2020년에 걸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 증상이다. 중국 우한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우한 폐렴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중국 저장성 박쥐에서 발견된 사스(SARS)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졌다. 애초 중국 정부는 전염성이 강하지 않다고 언급했으며 사람간 감염 사례가 없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그 전염성이 매우 강력하고 사람간 감염 사례가 매우 많이 발견되었다. 제 2의 사스(SARS) 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0년 2월, WHO는 '우한 폐렴'이라는 명칭 대신 [[COVID-19]](('CO'rona 'VI'rus 'D'isease,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 명명)으로 공식 명명했다.
2019년 말에서 2020년에 걸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 증상이다. 중국 우한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우한 폐렴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중국 저장성 박쥐에서 발견된 사스(SARS)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졌다. 애초 중국 정부는 전염성이 강하지 않다고 언급했으며 사람간 감염 사례가 없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그 전염성이 매우 강력하고 사람간 감염 사례가 매우 많이 발견되었다. 제 2의 사스(SARS) 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0년 2월, WHO는 '우한 폐렴'이라는 명칭 대신 [[COVID-19]](('CO'rona 'VI'rus 'D'isease,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 명명)으로 공식 명명했다.


==WHO 비상사태 선포==
==WHO 비상사태, 팬데믹 선포==


국제보건기구(WHO)는 전세계적 위협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창궐 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포할 수 있다.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비상사태 선포는 없었으나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결국 1월 30일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국제보건기구(WHO)는 전세계적 위협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창궐 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포할 수 있다.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비상사태 선포는 없었으나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결국 '''1월 30일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하지만 WHO는 비상사태 선포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비상사태 선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이동 제한 등에는 반대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WHO에 막대한 지원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WHO가 중국과의 물류 및 이동 제한 반대 의견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후베이성 체류 14일 이내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본, 남미 등에서도 중국발 외국인 입국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WHO는 비상사태 선포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비상사태 선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이동 제한 등에는 반대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WHO에 막대한 지원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WHO가 중국과의 물류 및 이동 제한 반대 의견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후베이성 체류 14일 이내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본, 남미 등에서도 중국발 외국인 입국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2월 중국을 넘어 한국과 일본 및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3월 초순 유럽과 미국 등 110개 국가에서 10만 명 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나타났고 WHO는 3월 11일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팬데믹'을 선언했다.


==국적 항공사 운항 중단==
==국적 항공사 운항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