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Jet: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29번째 줄:
2020년 5월, 미쓰비시는 해당 연도 투입 개발비를 2019년의 절반 수준인 600억 엔 정도로 줄이며 70석 규모의 M100 개발 작업은 보류한다고 밝혔다.<ref>M100 기종은 공식적인 개발 착수에 이르지 못한 사업화 검토 단계에 머무른 상태다.</ref>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항공기 시장도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2021년 이후로 예상한 출시 시기는 더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2020년 5월, 미쓰비시는 해당 연도 투입 개발비를 2019년의 절반 수준인 600억 엔 정도로 줄이며 70석 규모의 M100 개발 작업은 보류한다고 밝혔다.<ref>M100 기종은 공식적인 개발 착수에 이르지 못한 사업화 검토 단계에 머무른 상태다.</ref>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항공기 시장도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2021년 이후로 예상한 출시 시기는 더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전세계 항공부품 공급망이 붕괴되면서 설사 M90 [[형식증명]]을 받는다 해도 항공기 생산 자체가 어렵다고 판단, [[미쓰비시 항공기]]는 5월 하순 '대량생산 중단 계획'을 내부에 이미 공지했으며 1500여 직원 수 절반으로 감축하고 개발 예산도 600억 엔으로 예년의 절반 이하로 줄었다. 해외 거점 역시 축소 또는 폐쇄할 예정이다. 사실상 일시적으로 개발 중단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2021년으로 예정한 M90 항공기 출시 역시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72687 미쓰비시, 제트 여객기 M90 대량 생산 계획 중단, 직원도 절반 감축]</ref>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전세계 항공부품 공급망이 붕괴되면서 설사 M90 [[형식증명]]을 받는다 해도 항공기 생산 자체가 어렵다고 판단, [[미쓰비시 항공기]]는 5월 하순 '대량생산 중단 계획'을 내부에 이미 공지했으며 1500여 직원 수 절반으로 감축하고 개발 예산도 600억 엔으로 예년의 절반 이하로 줄었다. 해외 거점 역시 축소 또는 폐쇄할 예정이다. 사실상 일시적으로 개발 중단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2021년으로 예정한 M90 항공기 출시 역시 지연될 것으로 예상됐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72687 미쓰비시, 제트 여객기 M90 대량 생산 계획 중단, 직원도 절반 감축]</ref>


2020년 3월기 결산 결과 지난 1년 약 3조 원(2633억 엔) 손실이 발생했으며 2013년 이래 개발을 총 지휘했던 벨라미 씨가 물러났다. 우선 미국에서 M90 [[형식증명]] 획득을 최우선으로 둔다고 했으나 개발 중단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시장이 크게 위축되었고 항공사들은 잉여 [[항공기]]를 조기 퇴역시키고 신규 도입을 뒤로 미루는 상황에서 주문취소 등의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스페이스제트가 설사 형식증명을 취득해도 날지 못할 수도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84656 日 최초 제트 여객기 스페이스제트, 총책임자 경질 개발 중단 위기]</ref>
2020년 3월기 결산 결과 지난 1년 약 3조 원(2633억 엔) 손실이 발생했으며 2013년 이래 개발을 총 지휘했던 벨라미 씨가 물러났다. 우선 미국에서 M90 [[형식증명]] 획득을 최우선으로 둔다고 했으나 개발 중단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시장이 크게 위축되었고 항공사들은 잉여 [[항공기]]를 조기 퇴역시키고 신규 도입을 뒤로 미루는 상황에서 주문취소 등의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스페이스제트가 설사 형식증명을 취득해도 날지 못할 수도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84656 日 최초 제트 여객기 스페이스제트, 총책임자 경질 개발 중단 위기]</ref>
53번째 줄: 53번째 줄:
| 이륙거리 || 1,740m || 1,760m
| 이륙거리 || 1,740m || 1,760m
|-
|-
| 기타 || || 미국 [[지역항공사]] 목표([[Scope Clause]])<ref>가장 큰 항공시장인 미국 지역항공사는 최대 76석 항공기만 운용할 수 있다.</ref>
| 기타 || - || 미국 [[지역항공사]] 목표([[Scope Clause]])<ref>가장 큰 항공시장인 미국 지역항공사는 최대 76석 항공기만 운용할 수 있다.</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