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역사(10월 25일):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 1985년 ===
=== 1985년 ===
[[에미레이트항공]], 첫 운항 시작. A300 항공기로 두바이-카라치 구간을 운항했다. 당시 사용한 A300 항공기는 [[파키스탄항공]]에서 [[리스|임대(리스)]]한 것이었다. 30년이 지난 2020년 기준 항공기 259대로 140개 도시를 운항하며 여객 수송실적(Passenger Kilometers)에서 세계 4위권에 오른 거대 항공사로 성장했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42/045/5eb1d50295f21e328a1ef5cc06000f2e.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42/045/5eb1d50295f21e328a1ef5cc06000f2e.jpg
| 설명 = 에미레이트항공의 A300 기종
| 설명 = 에미레이트항공의 A300 기종
| 너비 =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에미레이트항공]], 첫 운항 시작. A300 항공기로 두바이-카라치 구간을 운항했다. 당시 사용한 A300 항공기는 [[파키스탄항공]]에서 [[리스|임대(리스)]]한 것이었다.
}}
 
30년이 지난 2020년 기준 항공기 259대로 140개 도시를 운항하며 여객 수송실적(Passenger Kilometers)에서 세계 4위권에 오른 거대 항공사로 성장했다.


* [항공칼럼] [https://airtravelinfo.kr/1201086 한때 선진 항공사였던 파키스탄항공의 쇄락과 입석 승객(2017/2/28)]
* [항공칼럼] [https://airtravelinfo.kr/1201086 한때 선진 항공사였던 파키스탄항공의 쇄락과 입석 승객(2017/2/28)]
55번째 줄: 54번째 줄:
이때 비행한 항공편명은 "SQ380"으로 [[퍼스트클래스]] 12석, [[비즈니스클래스]] 60석, 그리고 [[이코노미클래스]] 399석 총 471석으로 구성된 항공기였다.
이때 비행한 항공편명은 "SQ380"으로 [[퍼스트클래스]] 12석, [[비즈니스클래스]] 60석, 그리고 [[이코노미클래스]] 399석 총 471석으로 구성된 항공기였다.


하지만 항공시장의 급변으로 대형 항공기 수요가 줄어들면서 도입 10년 만인 2016년 싱가포르항공은 더 이상 A380 임차계약([[리스]])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을 정도로 A380 기종의 미래는 밝지 않다.<ref>[https://airtravelinfo.kr/1178808 싱가포르항공, 'A380 임차 연장 않을 것'(2016/9/14)]</ref>  {{각주}}
하지만 항공시장의 급변으로 대형 항공기 수요가 줄어들면서 도입 10년 만인 2016년 싱가포르항공은 더 이상 A380 임차계약([[리스]])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을 정도로 A380 기종의 미래는 밝지 않다.<ref>[https://airtravelinfo.kr/1178808 싱가포르항공, 'A380 임차 연장 않을 것'(2016/9/14)]</ref>
 
=== 2015년 ===
 
러시아 항공사 Transaero, 경영난으로 운항 중단. 1991년 운항을 시작해 모스크바 브느코보, 상트페테스부르크 등을 거점으로 150여 도시에 취항했다. 운항 중단 당시 보유 항공기는 97대로 2021년 현재도 파산 관련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 2018년 ===
 
벨기에, F-35A [[전투기]] 34대(65억 달러) 도입 결정. 기존 1980년대 후반 도입했던 F-16 전투기 52대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각주}}
[[분류:항공역사]]
[[분류:항공역사]]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