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icing: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예전에는 눈을 쓸어내는 정도의 제빙 작업이었다면 최근의 항공기 제빙 작업은 제빙액을 살포해 눈, 얼음을 용해시키고 다시 쌓이는 눈을 녹이는 방식이다.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55086 비행기 쌓인 눈은 빗자루로 쓸어 치울까?]</ref>
예전에는 눈을 쓸어내는 정도의 제빙 작업이었다면 최근의 항공기 제빙 작업은 제빙액을 살포해 눈, 얼음을 용해시키고 다시 쌓이는 눈을 녹이는 방식이다.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55086 비행기 쌓인 눈은 빗자루로 쓸어 치울까?]</ref>


==De-icing과 [[이륙]]==
==De-icing과 [[이륙]]==
11번째 줄: 10번째 줄:


[[file:lift_icing.jpg|400px|쌓인 눈, 얼음 등은 항공기 양력을 감소시킨다]]
[[file:lift_icing.jpg|400px|쌓인 눈, 얼음 등은 항공기 양력을 감소시킨다]]


==De-icing액 (제빙액) 종류==
==De-icing액 (제빙액) 종류==
25번째 줄: 23번째 줄:


De-icing 용액은 제빙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e-icing 용액은 제빙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e-icing 작업 장소과 오염==
==De-icing 작업 장소과 오염==
32번째 줄: 29번째 줄:


제방빙 작업을 하는 장소는 크게 승객이 탑승하는 [[터미널]] [[탑승구]] 지역 혹은 별도 제방빙 패드(Pad)가 있으며 두 장소 모두 오폐수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제방빙 작업을 하는 장소는 크게 승객이 탑승하는 [[터미널]] [[탑승구]] 지역 혹은 별도 제방빙 패드(Pad)가 있으며 두 장소 모두 오폐수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관련 용어==
==관련 용어==
41번째 줄: 36번째 줄:
* [[타막 딜레이]](Tarmac Delay)
* [[타막 딜레이]](Tarmac Delay)
* [[Holdover Time]]
* [[Holdover Time]]
* [[엔진온 디아이싱]]


 
{{각주}}
 
----


[[분류:항공기]]
[[분류:항공기]]
[[분류:운항]]
[[분류: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