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U: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 (added Category:화물 using HotCat)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FSU(Freight Status Update Message) ==
== FSU(Freight Status Update Message) ==
[[Cargo IMP]]를 통해 주고 받는 Message 중의 하나로, [[화물]]의 현재 운송 상태를 나타내거나 update하기 위한 Message이다. 예약, 접수, 출발, 도착, 인도 등의 운송 상태에 대해 항공사가 Freight [[Forwarder]] 및 [[화주]], 타 항공사에 운송 단계별로 전송해 준다.
[[Cargo IMP]]를 통해 주고 받는 Message 중의 하나로, [[화물]]의 현재 운송 상태를 나타내거나 update하기 위한 Message이다. 예약, 접수, 출발, 도착, 인도 등의 운송 상태에 대해 항공사가 Freight [[Forwarder]] 및 [[화주]], 타 항공사에 운송 단계별로 전송해 준다.
== 상태 ==
* BKD : [[화물발송인|화물]]이 특정 항공편에 예약되었음
* MAN : 화물 운송을 위해 화물 [[적하목록]]이 작성되었음
* ARR : 화물이 탑재된 항공편이 도착지 공항에 도착했음
* FOH : 화물이 [[송하인]](또는 송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으로부터 인수되어 출발지 창고에 입고되었음
* PRE : 출발지 [[ASR|공항]]에서 화물이 탑재될 준비가 완료되었음
* AWR : 화물 서류가 해당 항공편을 통해 도착지에 도착하였음
* RCS : 출발지 공항에 화물이 입고 및 접수 완료되어, 화물이 Ready for Carriage 상태임
* DEP : 화물이 탑재된 항공편이 출발지 공항을 출발하였음
* RCF : 화물이 항공편에서 하기되어 목적지 창고에 입고되었음
* NFD : 화물이 도착하였음을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통지하였음
* AWD : 화물 서류가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전달되었음
* TGC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입 신고 및 통관 절차를 밟기 위해서 [[세관]] 또는 해당 정부기관에 전달되었음
* CRC : 도착지 공항에서 수입 신고 및 통관 절차를 밟기 위해서 화물 정보가 세관 또는 해당 정부기관에 전달되었음
* CCD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입 신고 및 통관이 완료되었음
* DLV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전달되었음
* DDL : 화물이 수하인의 주소지로 배달 완료되었음
* DIS : 화물이 정상적인 운송 절차에서 벗어났음
* TRM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 화물이 [[환적]](인계)될 예정임
* TFD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 화물이 환적(인계)되었음
* RCT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부터 화물을 환적(인수)받았음


== 참고 ==
== 참고 ==

2022년 5월 11일 (수) 10:13 판

FSU(Freight Status Update Message)

Cargo IMP를 통해 주고 받는 Message 중의 하나로, 화물의 현재 운송 상태를 나타내거나 update하기 위한 Message이다. 예약, 접수, 출발, 도착, 인도 등의 운송 상태에 대해 항공사가 Freight Forwarder화주, 타 항공사에 운송 단계별로 전송해 준다.

상태

  • BKD : 화물이 특정 항공편에 예약되었음
  • MAN : 화물 운송을 위해 화물 적하목록이 작성되었음
  • ARR : 화물이 탑재된 항공편이 도착지 공항에 도착했음
  • FOH : 화물이 송하인(또는 송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으로부터 인수되어 출발지 창고에 입고되었음
  • PRE : 출발지 공항에서 화물이 탑재될 준비가 완료되었음
  • AWR : 화물 서류가 해당 항공편을 통해 도착지에 도착하였음
  • RCS : 출발지 공항에 화물이 입고 및 접수 완료되어, 화물이 Ready for Carriage 상태임
  • DEP : 화물이 탑재된 항공편이 출발지 공항을 출발하였음
  • RCF : 화물이 항공편에서 하기되어 목적지 창고에 입고되었음
  • NFD : 화물이 도착하였음을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통지하였음
  • AWD : 화물 서류가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전달되었음
  • TGC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입 신고 및 통관 절차를 밟기 위해서 세관 또는 해당 정부기관에 전달되었음
  • CRC : 도착지 공항에서 수입 신고 및 통관 절차를 밟기 위해서 화물 정보가 세관 또는 해당 정부기관에 전달되었음
  • CCD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입 신고 및 통관이 완료되었음
  • DLV : 도착지 공항에서 화물이 수하인(또는 수하인이 위임한 대리점)에게 전달되었음
  • DDL : 화물이 수하인의 주소지로 배달 완료되었음
  • DIS : 화물이 정상적인 운송 절차에서 벗어났음
  • TRM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 화물이 환적(인계)될 예정임
  • TFD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 화물이 환적(인계)되었음
  • RCT : 경유지에서 타 항공사로부터 화물을 환적(인수)받았음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