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1일 (월)
74번째 줄: 74번째 줄:
|-
|-
|'''한국'''||'''15,424,598'''||'''19,679'''
|'''한국'''||'''15,424,598'''||'''19,679'''
|0.1||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되었으나 5월 이후 일 50여 명 내외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2020년 12월 경 하루 1천 명대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 2022년 2월 하루 10만 명 대로 폭등
|0.1||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되었으나 5월 이후 일 50여 명 내외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2020년 12월 경 하루 1천 명대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 2022년 2월 하루 10만 명, 3월에는 30만 명대로 폭증
|-
|-
|이탈리아||15,292,048||160,748
|이탈리아||15,292,048||160,748
277번째 줄: 277번째 줄:
3월 중순들어서면서 확진자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3월 11일 [[콜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단체로 확진자가 나오면서 위기는 감소되지 않고 있다. 3월 15일 이후 4일 연속 신규 확진자가 100명 아래로 떨어졌고 4월 6일부터는 신규 확진자가 50명선 아래로 떨어져 안정세로 접어 들었다. 하반기 들어서 확산세는 지속됐고 11월 들어서는 한 때 하루 신규 감염자자 1천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3월 중순들어서면서 확진자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3월 11일 [[콜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단체로 확진자가 나오면서 위기는 감소되지 않고 있다. 3월 15일 이후 4일 연속 신규 확진자가 100명 아래로 떨어졌고 4월 6일부터는 신규 확진자가 50명선 아래로 떨어져 안정세로 접어 들었다. 하반기 들어서 확산세는 지속됐고 11월 들어서는 한 때 하루 신규 감염자자 1천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2021년 들어서도 확진자 규모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7월 이후 일일 확진자 규모는 더욱 커져 한 때 4천 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2021년 하반기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세계는 다시 방역 강화에 들어갔다. 백신 예방 접종에도 불구하고 돌파 감염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도 2022년 1월 하루 2만 명, 2월에는 10만 명을 넘어서는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2021년 들어서도 확진자 규모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7월 이후 일일 확진자 규모는 더욱 커져 한 때 4천 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2021년 하반기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세계는 다시 방역 강화에 들어갔다. 백신 예방 접종에도 불구하고 돌파 감염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도 2022년 1월 하루 2만 명, 2월에는 10만 명, 3월 30-40만 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헀다.


===계절 독감으로 전환===
===계절 독감으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