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28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9일 (목)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2번째 줄: 42번째 줄:


계획된 울릉공항 규격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뜨고 내릴 수 있는 기체가 없다며 울릉공항 무용론이 제기됐다. 2022년 9월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위원은 우리나라 항공사가 운용하는 기체 가운데 가장 작은 기종(ATR 72)으로도 울릉공항 이착륙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기종의 [[최소이륙거리]]는 1315미터이지만 계획된 울릉공항 활주로 길이가 1200미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활주로 1200미터로 가능한 상용 기체는 ATR 42 정도지만 우리나라에 도입되지 않은 기종이다.<ref>[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61661 “7천292억 투입한 울릉공항, 취항 가능한 국내 항공사 ‘無’… 혈세낭비다” (2022.9.28)]</ref> 건설 추진 중인 [[백령공항]], [[흑산공항]]도 동일한 길이의 활주로를 계획하고 있어 같은 문제가 나타날 전망이다.
계획된 울릉공항 규격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뜨고 내릴 수 있는 기체가 없다며 울릉공항 무용론이 제기됐다. 2022년 9월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위원은 우리나라 항공사가 운용하는 기체 가운데 가장 작은 기종(ATR 72)으로도 울릉공항 이착륙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기종의 [[최소이륙거리]]는 1315미터이지만 계획된 울릉공항 활주로 길이가 1200미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활주로 1200미터로 가능한 상용 기체는 ATR 42 정도지만 우리나라에 도입되지 않은 기종이다.<ref>[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61661 “7천292억 투입한 울릉공항, 취항 가능한 국내 항공사 ‘無’… 혈세낭비다” (2022.9.28)]</ref> 건설 추진 중인 [[백령공항]], [[흑산공항]]도 동일한 길이의 활주로를 계획하고 있어 같은 문제가 나타날 전망이다.
== 기타 ==
=== 소형 항공사 설립 움직임 ===
경상북도가 울릉공항 운항 가능한 소규모 [[지역 항공사]]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2023년 1월 '경상북도 지역 항공사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 예산 1억5천만 원을 승인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