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항 역사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우리나라 공항 역사: 근대 이후 우리나라 공항 현황
==우리나라 공항 역사==


== 개요 ==
우리나라 [[비행장]], [[공항]]은 일제시대에 시작되었다. 그 목적은 일제의 대륙 진출의 근거지로 삼기 위한 것이었다. 해방 이후 민간 상용 항공교통 수요가 나타나면서 김해, 제주 등 본격적인 공항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비행장]], [[공항]]은 일제시대에 시작되었다. 그 목적은 일제의 대륙 진출의 근거지로 삼기 위한 것이었다. 해방 이후 민간 상용 항공교통 수요가 나타나면서 김해, 제주 등 본격적인 공항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 해방 전 ==
==여의도비행장==
 
=== 여의도비행장 ===
[[file:yeouido_airfield.jpg|thumb|300px|여의도 비행장]]
[[file:yeouido_airfield.jpg|thumb|300px|여의도 비행장]]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선 비행장은 1916년 건설된 여의도비행장이다. 일제는 경기도 용강면(현재 여의도)에 비행장 건설을 시작해 그해 9월에 [[활주로]]를 완성하고 10월 운영에 들어갔다. 일제는 표면상으로는 민간 [[항로]] 개설 등 항공교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는 대륙 진출의 교두보로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행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선 비행장은 1916년 건설된 여의도비행장이다. 일제는 경기도 용강면(현재 여의도)에 비행장 건설을 시작해 그해 9월에 [[활주로]]를 완성하고 10월 운영에 들어갔다. 일제는 표면상으로는 민간 [[항로]] 개설 등 항공교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는 대륙 진출의 교두보로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행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12번째 줄: 9번째 줄:
1922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 비행을 실시했던 [[안창남]]이 여의도비행장에서 시험 비행을 하기도 했다. 여의도비행장은 한국전쟁 후 195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1958년 1월에는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공항]]으로 이관되면서 공군기지로 역할을 담당했다가 1971년 2월 공군기지가 성남(현재 [[서울공항]])으로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1922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 비행을 실시했던 [[안창남]]이 여의도비행장에서 시험 비행을 하기도 했다. 여의도비행장은 한국전쟁 후 195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1958년 1월에는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공항]]으로 이관되면서 공군기지로 역할을 담당했다가 1971년 2월 공군기지가 성남(현재 [[서울공항]])으로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 김포공항 ===
==김포공항==
[[file:gimpo_airport_1959.jpg|thumb|300px|김포공항 초기 모습(1959년)]]
[[file:gimpo_airport_1959.jpg|thumb|300px|김포공항 초기 모습(1959년)]]
[[김포공항]]은 일제 군부가 1939년 활주로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일제는 대륙진출의 근거지로 활용할 수 있는 두만강 인근 지역이 전략 요충지로 떠오르자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설한 것이 김포비행장이다. 이외에도 일제는 해방 무렵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40여 개 군 비행장을 건설했다.
[[김포공항]]은 일제 군부가 1939년 활주로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일제는 대륙진출의 근거지로 활용할 수 있는 두만강 인근 지역이 전략 요충지로 떠오르자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설한 것이 김포비행장이다. 이외에도 일제는 해방 무렵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40여 개 군 비행장을 건설했다.
23번째 줄: 20번째 줄:
국제공항 확장 계획에 따라 인천공항이 개항한 2001년 국제선 기능을 [[인천공항]]에 넘겨주고 국내선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시내에 근접한 잇점 때문에 근거리 국제선 요구가 지속되자 2003년 김포(서울)-하네다(도쿄)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이 부활되었다. 2019년 현재 김포공항은 국내선 및 일본, 중국, 타이베이 등 근거리 국제노선 일부를 운항하는 국제공항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공항 확장 계획에 따라 인천공항이 개항한 2001년 국제선 기능을 [[인천공항]]에 넘겨주고 국내선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시내에 근접한 잇점 때문에 근거리 국제선 요구가 지속되자 2003년 김포(서울)-하네다(도쿄)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이 부활되었다. 2019년 현재 김포공항은 국내선 및 일본, 중국, 타이베이 등 근거리 국제노선 일부를 운항하는 국제공항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김해공항 ===
==김해공항==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개설된 부산 수영비행장에서 출발했다. 해방 후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를 이용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대구-부산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수영비행장이 민간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94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서울-부산 [[노선]]을 개설해 운항하면서 여의도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수영비행장이 국제공항으로 운영되었다.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개설된 부산 수영비행장에서 출발했다. 해방 후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를 이용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대구-부산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수영비행장이 민간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94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서울-부산 [[노선]]을 개설해 운항하면서 여의도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수영비행장이 국제공항으로 운영되었다.


1958년 수영비행장 이름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에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1976년 8월,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8년 수영비행장 이름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에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1976년 8월,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제주공항 ===
==제주공항==
 
[[제주국제공항]]은 1942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시작하였다.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면서 건설했던 활주로 등을 이용해 해방 후 1948년 민간 항공기가 [[운항]]을 시작했고 1958년 1월 정부는 정식 제주비행장으로 인가했다. 한일 [[항공협정]]이 체결되면서 1968년 4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제주국제공항]]은 1942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시작하였다.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면서 건설했던 활주로 등을 이용해 해방 후 1948년 민간 항공기가 [[운항]]을 시작했고 1958년 1월 정부는 정식 제주비행장으로 인가했다. 한일 [[항공협정]]이 체결되면서 1968년 4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김포, 인천공항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지만 [[활주로]] 1개(실제 2개지만 짧은 활주로 사용 어려움)로 포화상태가 되면서 2010년 들어서 제주 신공항 건설 논의가 시작되었다. 2015년 11월 제주 성산읍 일대에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논란과 갈등이 확대되면서 2020년 현재까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김포, 인천공항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지만 [[활주로]] 1개(실제 2개지만 짧은 활주로 사용 어려움)로 포화상태가 되면서 2010년 들어서 제주 신공항 건설 논의가 시작되었다. 2015년 11월 제주 성산읍 일대에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논란과 갈등이 확대되면서 2020년 현재까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 해방 후 ==
==인천공항==


=== 인천공항 ===
급증하는 국내 항공교통으로 인해 김포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 예상되면서 1992년부터 영종도와 영유도 사이 간석지를 매립해 조성된 부지에 건설된 것이 [[인천공항]]이다. 2001년 3월 29일, 개항과 동시에 김포공항의 국제선을 일괄 넘겨받아 운영이 시작되었다. 2018년 이용객이 6800만 명을 넘어섰으며 [[항공기]] 이착륙 횟수가 38만 여회에 이르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제 관문공항으로 자리 잡았다.
급증하는 국내 항공교통으로 인해 김포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 예상되면서 1992년부터 영종도와 영유도 사이 간석지를 매립해 조성된 부지에 건설된 것이 [[인천공항]]이다. 2001년 3월 29일, 개항과 동시에 김포공항의 국제선을 일괄 넘겨받아 운영이 시작되었다. 2018년 이용객이 6800만 명을 넘어섰으며 [[항공기]] 이착륙 횟수가 38만 여회에 이르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제 관문공항으로 자리 잡았다.


43번째 줄: 41번째 줄:


* [[대한민국 공항 현황]]{{각주}}
* [[대한민국 공항 현황]]{{각주}}
[[분류: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