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5,204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공항 | {{공항 | ||
| img = | | img = file:jdg_airport.jpg | ||
| iata = JDG | | iata = JDG | ||
| icao = RKPD | | icao = RKPD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rwy_remarks2 = | | rwy_remarks2 = | ||
}} | }} | ||
정석비행장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대한항공]] 소유의 [[비행장]] | |||
==개요 == | |||
== 개요 == | |||
1989년 1월, 제주도에 비행훈련원을 세운 대한항공은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3월 활주로와 관제탑을 포함한 건물을 짓기 시작해 1998년 8월 정식 비행장으로 개항했다. 2002년에는 정식으로 관제권을 부여받았다. | 1989년 1월, 제주도에 비행훈련원을 세운 대한항공은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3월 활주로와 관제탑을 포함한 건물을 짓기 시작해 1998년 8월 정식 비행장으로 개항했다. 2002년에는 정식으로 관제권을 부여받았다. | ||
31번째 줄: | 29번째 줄: | ||
현재는 이곳에서는 자체 조종사 훈련 및 [[한국항공대학교]] 비행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다. 2021년까지 총 3,258명의 조종사 수료생을 배출했다. 특히 입사한 예비 운항 승무원들이 4개월 간 이곳에서 교육을 받는다. | 현재는 이곳에서는 자체 조종사 훈련 및 [[한국항공대학교]] 비행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다. 2021년까지 총 3,258명의 조종사 수료생을 배출했다. 특히 입사한 예비 운항 승무원들이 4개월 간 이곳에서 교육을 받는다. | ||
== 제주 제2공항 대안 == | ==제주 제2공항 대안== | ||
국토교통부가 2015년 기존 [[제주공항]]을 유지하면서 성산읍 온평리 일원에 제2공항 건설을 발표하고 이후 부지 선정, 환경 등의 문제로 갈등이 증폭되면서 진전되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 2021년 갈등이 증폭된 신공항 계획을 철회하고 대체안으로 정석비행장이 거론되었다. | 국토교통부가 2015년 기존 [[제주공항]]을 유지하면서 성산읍 온평리 일원에 제2공항 건설을 발표하고 이후 부지 선정, 환경 등의 문제로 갈등이 증폭되면서 진전되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 2021년 갈등이 증폭된 신공항 계획을 철회하고 대체안으로 정석비행장이 거론되었다. | ||
38번째 줄: | 36번째 줄: | ||
제주공항 혼잡 등으로 공항 추가 소요 논란이 제기될 때마다 대안으로 거론된다.<ref>[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9034 "제주 마이스산업 최대 난제 항공좌석난...정석비행장 활용해야"(2022.12.18)]</ref> | 제주공항 혼잡 등으로 공항 추가 소요 논란이 제기될 때마다 대안으로 거론된다.<ref>[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9034 "제주 마이스산업 최대 난제 항공좌석난...정석비행장 활용해야"(2022.12.18)]</ref> | ||
==참고== | ==참고 == | ||
* [[대한항공]] | *[[대한항공]]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