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1,695
번
(→기타) |
편집 요약 없음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 | | ||
|} | |} | ||
==조사== | ==조사== | ||
사고 직후 화재 진압과 함께 [[비행기록장치]](FDR)를 회수했다. [[블랙박스]] 중 하나인 [[CVR|음성기록장치]](CVR)를 확보하게 되면 본격적인 사고 조사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 사고 직후 화재 진압과 함께 [[비행기록장치]](FDR)를 회수했다. [[블랙박스]] 중 하나인 [[CVR|음성기록장치]](CVR)를 확보하게 되면 본격적인 사고 조사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 ||
72번째 줄: | 67번째 줄: | ||
30일, 국토교통부는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 19 방향으로 1/3 지점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터로 환산하면 2800m 길이 활주로에서 1200m 지점을 지나 착륙했다. 남은 1600m를 달리고 이탈한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4/12/30/YDHTMXIEXVC6TPA3HJV3I627NM/ 국토부 “항공기, 활주로 1200m 지점 착륙… 터치다운존 지났다”(2024.12.30)]</ref><ref>[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75431.html 사고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1/3 지점에 착륙(2024.12.30)]</ref> | 30일, 국토교통부는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 19 방향으로 1/3 지점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터로 환산하면 2800m 길이 활주로에서 1200m 지점을 지나 착륙했다. 남은 1600m를 달리고 이탈한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4/12/30/YDHTMXIEXVC6TPA3HJV3I627NM/ 국토부 “항공기, 활주로 1200m 지점 착륙… 터치다운존 지났다”(2024.12.30)]</ref><ref>[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75431.html 사고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1/3 지점에 착륙(2024.12.30)]</ref> | ||
== 다양한 주장 == | ==다양한 주장 == | ||
=== 랜딩기어 부작동 === | ===랜딩기어 부작동=== | ||
[[랜딩기어]]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개되지 않을 때도 작동하는 방법이 있다며 조종사의 미숙을 언급하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엔진이 하나만 작동해도 [[유압장치]]가 작동하므로 문제 없었을 것이며, 설사 엔진 2개 모두 작동이 불능해 유압계통이 작동하지 않았어도 비상 시 압력을 공급하는 축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마저도 작동하지 않았다면 조종사가 수동으로 [[중력]]을 이용해 랜딩기어를 내릴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B737-800 기체는 랜딩기어를 막고 있는 문이 없어 중력으로 내리기 쉬운 구조다. 최후의 수단인 수동으로 조작하지 못할 만큼 긴급한 상황이 아니었다면 조종사 미흡일 가능성이 크다. | [[랜딩기어]]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개되지 않을 때도 작동하는 방법이 있다며 조종사의 미숙을 언급하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엔진이 하나만 작동해도 [[유압장치]]가 작동하므로 문제 없었을 것이며, 설사 엔진 2개 모두 작동이 불능해 유압계통이 작동하지 않았어도 비상 시 압력을 공급하는 축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마저도 작동하지 않았다면 조종사가 수동으로 [[중력]]을 이용해 랜딩기어를 내릴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B737-800 기체는 랜딩기어를 막고 있는 문이 없어 중력으로 내리기 쉬운 구조다. 최후의 수단인 수동으로 조작하지 못할 만큼 긴급한 상황이 아니었다면 조종사 미흡일 가능성이 크다. | ||
87번째 줄: | 82번째 줄: | ||
}} | }} | ||
=== 동체착륙 === | ===동체착륙 === | ||
항공기 속도가 줄지 않은 것과 관련해 동체착륙 진행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날개 등을 움직여 [[항력]]을 키워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사고 동영상 속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엔진이 완전 불통되면 날개 움직임 조차 [[조종사]]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 항공기 속도가 줄지 않은 것과 관련해 동체착륙 진행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날개 등을 움직여 [[항력]]을 키워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사고 동영상 속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엔진이 완전 불통되면 날개 움직임 조차 [[조종사]]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 ||
93번째 줄: | 88번째 줄: | ||
또한 동체착륙 접지 위치도 활주로 진입 초반을 지나쳐 중반 부근에서야 [[터치다운]] 한 듯한 모습이 보여 감속을 위한 제동거리를 확보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또한 동체착륙 접지 위치도 활주로 진입 초반을 지나쳐 중반 부근에서야 [[터치다운]] 한 듯한 모습이 보여 감속을 위한 제동거리를 확보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
==사고 원인== | ==사고 원인== | ||
{{빈 문단}} | {{빈 문단}} | ||
113번째 줄: | 103번째 줄: | ||
===사고 항공기 직전 운항 기록=== | ===사고 항공기 직전 운항 기록===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0 solid #fff;" | |||
- 2024.12.28 | !일자 | ||
- | !구간 | ||
- | !출도착 시각({{툴팁|KST|한국 표준시}}) | ||
- | !비행시간 | ||
- | !총 비행시간 | ||
- 2024.12.29 | |- | ||
| rowspan="5" |2024.12.28 | |||
|무안 - 나가사키 | |||
|09:30 - 11:00 | |||
|56분 | |||
| rowspan="6" |15시간 35분 | |||
(24시간 중) | |||
|- | |||
| 나가사키 - 무안 | |||
|11:50 - 13:10 | |||
|58분 | |||
|- | |||
| 무안 - 타이베이 | |||
|14:15 - 16:45 | |||
|2시간 11분 | |||
|- | |||
| 타이베이 - 무안 | |||
|17:45 - 19:50 | |||
|1시간 35분 | |||
|- | |||
|무안 - 방콕 | |||
|20:50 - 02:30 | |||
|5시간 25분 | |||
|- | |||
|2024.12.29 | |||
|방콕 - 무안 | |||
|03:30 - 08:30 | |||
| 4시간 30분 | |||
|} | |||
==여파== | ==여파== | ||
130번째 줄: | 146번째 줄: | ||
==참고== | ==참고== | ||
*[[조류 충돌]] | *[[조류 충돌]] | ||
*[[복행]]([[고어라운드]]) | *[[복행]]([[고어라운드]]) | ||
*[[국적 항공사 항공사고]] | *[[국적 항공사 항공사고]] | ||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사고]] |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사고]]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