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시각 편집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xxxxxxxxx
{{항공사
|airlines=진에어
|iata=LJ
|icao=JNA
|callsign=JIN AIR
|homepage=[http://www.jinair.com jinair.com]
|start=2008년 [[1월 23일]]
|flying=2008년 [[7월 17일]]
|end=
|age={{나이|2008|1|23}}
|airplane=25대
|pax=5,846,039명 (2021년)
|revenue=2,472억 원 (2021년, 개별매출)<ref>2018년 매출 1조 원을 넘겼으나 2019년 업황 악화와 국토부 제재, 2020~2021년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ref>
|img=파일:Boeing 777-2B5ER ‘HL7733’ Jin Air (48587894702).jpg
}}
진에어(Jin Air)
[[대한항공]]이 출자해 설립한 [[저비용항공사]]로 '프리미엄 LCC'를 지향한다. 우리나라에서 [[LCC]] 사업모델 전망 불투명으로 인해 유럽, 미국과 같은 저가 항공[[운임]]을 제공하는 LCC가 아닌 그 과도기 단계 성격의 저비용항공사를 표방하고 있어 초저가 [[운임]]은 제공하지 않거나 매우 적으며 대신 좌석간 [[피치]], 무료 [[기내식]] 등으로 여타 저비용항공사 모델과 특징을 달리하고 있다.
==연혁==
* 2008년 [[1월 23일]] : 진에어 설립
* 2008년 [[7월 17일]] : 상업비행 시작 (김포-제주)
* 2009년 12월 : 국제선(인천-방콕) 취항
* 2013년 11월 : 화물운송 사업 개시
* 2015년 3월 : 국내 [[LCC]] 최초로 [[CAT]]-IIIb 등급 인가
* 2017년 12월 :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8년 8월 : 국토부, 외국인 등기임원 재직 위반 혐의로 면허취소 대신 신규 [[취항]], 증편, 신규 항공기 등록, 신규 채용 금지 등 제재 시작 ([[진에어 국토부 제재]] → 2020년 3월 31일 해제됨)
* 2022년 [[10월 30일]], 무료 [[기내식]] 서비스 종료<ref name=":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7242 진에어, 무료 기내식 서비스 종료]</ref>
===코로나19 사태와 경영 위기===
2019년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매출감소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업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맞았으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 재무구조는 이전 대비 크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한일 갈등과 항공편 감축]], [[코로나19 사태와 국적 항공사 경영 위기]] 참고)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자본·부채 현황 (단위: 억 원)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Q
!비고
|-
|자본총계
|2662
|1917
|982
|1727
|1403
|
|부채총계
|2533
|5127
|4586
|4288
|4208
|부채비율(%)
|95.17
|267.37
|467.20
|248.25
|299.86
|자본잠식률(%)
| -
|<nowiki>-</nowiki>
|}
==유니폼 ==
진에어 직원 유니폼은 여타 [[항공사]]와 달리 캐쥬얼한 분위기다. 청바지(진)와 셔츠, 그리고 스니커즈 형태의 신발이 기본이며 형광 그린색 야구 모자를 착용하기도 했다. [[객실승무원]] 역시 같은 유니폼이나 최근에는 야구 모자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운항승무원]] 역시 청바지에 자켓을 착용하고 있다. 2019년 7월부터 블랙진/청치마로 제작한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노선==
=== 노선 특징===
진에어는 [[저비용항공사]]가 일반적으로 단거리 [[노선]]만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호놀룰루<ref>[http://www.airtravelinfo.kr/xe/1138890 저비용항공사 국내 최초 장거리 노선, 19일 취항 - 진에어 하와이]</ref>, 케언즈<ref>[http://www.airtravelinfo.kr/xe/1188686 진에어, 두번째 장거리 케언즈 노선 운항 시작]</ref> 등의 장거리 노선도 비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이는 여타 LCC가 B737, A320 등 소형 제트항공기만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B777이라는 중대형 장거리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어 가능하다.
==기내 서비스==
프리미엄 LCC를 표방하는데서 알 수 있듯이 [[기내식]]은 기존 일반 항공사([[FSC]])와 마찬가지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좌석간 앞뒤 간격인 [[피치]]도 넓은 편이고 그 보다 더 넓은 '[[지니 플러스]]'라는 일종의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와 유사한 운임도 제공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내서비스에 대해서 다른 여타 LCC 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년 12월 B737-900 기종 도입과 함께 [[비즈니스클래스]] '[[지니비즈]]'를 도입했다. 좌석 위치 및 특징에 따라 [[사전좌석구매]] 요금을 추가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좌석 종류
!특징
|[[지니비즈]]
|일반석보다 24cm 넓은 [[피치]]
|B737-900
|[[지니플러스]]
|일반석보다 15cm 넓은 피치
|B777-200ER
|지니스트레치
| 첫 번째 열
|지니패스트
|앞쪽에 위치해 빠른 하기 가능
|비상구열
|비상구에 위치한 좌석
|비상구열(등받이 고정)
|등받이 고정
|지니스탠다드A
|일반 좌석 중 앞쪽
|지니스탠다드B
|일반 좌석 중 뒤쪽
프리미엄 저비용항공사를 지향하며 출범 이래 줄곧 기내식 무료 제공을 지켜왔으나 2022년 10월 무료 제공은 중단했다.<ref name=":0" />
==회원 프로그램==
*[[나비포인트]]
==보유 항공기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1년 12월 기준
!항공기!!보유!!주문!!비고
|B737-800||21||-||2021년 1-2월 4대 송출
|1
|2021년 12월 도입
|B777-200ER||4||-||
!계!!26 !!-!!
2018년 추가 도입 예정이었으나 [[물컵갑질]] 영향으로 인한 국토부 제재([[항공기]] 신규 도입 금지,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증편 금지 등)로 제재가 풀린 2020년 3월까지 단 한 대의 항공기도 추가하지 못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2021년 1월 고정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리스]] 계약기간이 만료된 항공기 2대를 반납했으며 2월 추가로 2대도 반납할 예정이어서 항공기 규모는 28대에서 24대로 줄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9773 진에어, 항공기 4대 감축해 고정비 지출 줄인다]</ref>
==사건/사고==
===국토교통부 제재(2018년)===
{{온글
| 온글 = 진에어 국토부 제재
2018년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일으킨 [[물컵갑질]] 여파로 자신이 등기임원으로 재직했던 [[진에어]]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쳤다. 항공사업법상 외국 국적 소유자는 [[국적 항공사]] 등기임원으로 재직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진에어 [[항공운송사업]] 면허취소까지 검토되었지만 다행히 최악의 경우는 면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경영문화 개선을 조건으로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신규 [[항공기]] 등록 금지 등의 제재를 가하면서 2018년 중반부터 2020년 3월까지 사업 확장이 불가능해지며 경쟁력이 크게 상실됐다.
{{참고
| 참고1 =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 참고2 =
| 참고3 =
제재 기간 동안 신규 [[운수권]] 배분에서 배제된 이후에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통합 이슈에 맞물려 2022년까지 단 한 개의 신규 운수권을 확보하지 못하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2670 제주·티웨이, 울란바타르 운수권 따내 … 10개 노선 운수권 배분]</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3730 진에어 노조, "운수권 배제는 부당" 행정조치 통해 확인할 것]</ref>
== 기타 ==
=== 지분 구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2년 3월 31일 기준
!주주
!비중(%)
|한진칼
|54.91
|지주사
|국민연금공단
|7.30
|우리사주조합
|3.42
|기타
|33.40
==참고==
*[[저비용항공사]]
*[[물컵갑질]]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대한항공]]
*[[연도별 우리나라 항공사 설립 현황]]
{{각주}}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