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시각 편집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xxxxxxxxx
내항기(內航機)
국제선 [[환승]] 전용기라고도 한다. 원칙적으로 [[국제선]]으로 도착한 승객은 원칙적으로 [[입국심사]] 절차를 거친 후 다시 [[국내선]] 항공편으로 갈아타야 하며 국내선 항공편에서 국제선으로 환승한다고 해도 출국심사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환승객 불편을 줄이기 위해 국내선 항공편임에도 국제선 자격으로 운항하는 항공편이다. 이렇게 되면 출입국심사를 중간 [[환승]]지(현재 인천공항)가 아닌, 최초 출발지(또는 최후 도착지)에서 받게 되며, 부친 [[수하물]] 역시 최후 도착지에서 수취할 수 있다.
이 항공편은 비록 국내선 구간을 [[운항]]하는 것이지만 단순히 국내 구간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국내선 항공편 검색 시에는 해당 구간은 나타나지 않는다. 2022년 [[9월 30일]] 기준 인천공항~김해공항 구간 [[내항기]]가 운영되고 있다.
==내항기 운항 노선 현황==
*김해공항 - 인천공항 : 2012년 시작<ref>[항공소식] [http://www.airtravelinfo.kr/xe/air_news/442617 인천공항 경유 해외 출입국 시 부산 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심사, 세관 가능해지다(대한항공)]</ref>
*대구공항 - 인천공항 : 2017년 시작<ref>[항공소식] [http://www.airtravelinfo.kr/xe/air_news/1246610 대구-인천, 국제선 환승 전용 '내항기' 운항]</ref>
==코로나19 사태와 운항 중단==
2020년 발발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국제선 수요 감소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2020년 3월·4월 각각 운항을 중단했다. 대한항공은 운항중단이 장기화되자 2021년 3월 노선 폐지를 신청하기도 했다. 2022년 9월 30일 대한항공이 김해-인천 내항기 운항을 재개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3301 대한항공, '비운항 장기화' 국내구간 11개 노선 폐지]</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7581 대한항공, 인천-김해공항 내항기 운항 재개]</ref>{{각주}}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