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리튬이온 배터리
편집하기 (부분)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사건/사고== ===갤럭시 노트7 반입·수송 금지=== 2016년 출시된 삼성전자 스마트폰 노트7이 배터리 결함 등으로 잇달아 폭발, 화재가 발생하자 미국 [[FAA]] 및 전세계 [[항공사]]들은 이 노트7 스마트폰 기내반입을 금지했다. 결국 삼성전자는 노트7 제품 전량을 회수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삼성은 해당 제품의 부품을 활용해 배터리 용량을 줄인 노트FE를 한정 수량 출시했으며 노트FE는 기내반입이 금지되지는 않았다. ===맥북 프로 15인치 반입·수송 금지=== 2019년 8월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애플 맥북 프로 15인치 모델 일부에 대해 항공기 기내 반입은 물론 수하물 위탁도 금지시켰다.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이유로 들었다. 금지 조치된 모델은 2015년 9월에서 2017년 2월 사이에 생산, 판매된 맥북 프로 15인치 노트북이다. 베트남, 태국 등도 해당 노트북 컴퓨터의 항공 운송을 전면 금지했으며 싱가포르항공,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등 항공사들도 잇달아 반입, 수송을 금지했다. ===호버보드 폭발 사건 관련 기내 반입 금지=== 호버보드 폭발, 화재 사건으로 항공업계에서는 대부분 호버보드를 위탁[[수하물]]로 탑재를 금지하고 있다. 2015년 이런 내용을 제대로 몰랐던 유명 영화배우(러셀크로우)가 트윗을 통해 공개적으로 [[항공사]]를 비난하기도 했으나 결국 자신이 미처 몰랐던 사실이었던 것이어서 망신만 당하기도 했다. <ref>[항공 일상다반사] [http://www.airtravelinfo.kr/xe/1141278 러셀크로우,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공개 비난했다가 망신만..]</ref> ===비행 중 스마트폰 배터리 폭발, 화재 사건=== 실제 비행 중 기내에서 사용 중이던 아이폰6s 등 스마트폰이나 보조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는 사건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ref>[항공소식] [http://www.airtravelinfo.kr/xe/1152898 비행 중 기내에서 아이폰 화재 발생]</ref><ref>[https://www.etnews.com/20200214000075 티웨이항공, 비행 중 휴대용 배터리서 연기···사고 막은 승무원(2020.2.14)]</ref><ref>[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573358_36515.html 여객기 내에서 보조배터리에 '불'‥연기 자욱했던 '공포의 비행'(2024.2.21)]</ref><ref>[https://sports.chosun.com/ext/2024-02-25/202402250100169040022882 또 기내 보조 배터리 폭발 '아찔'…부상자 없이 연기 자욱 '비행'(2024.2.25)]</ref> ===제주항공 스마트 워치 리튬이온 배터리 수송 과징금=== 2018년 [[제주항공]]이 수송한 [[화물]] 가운데 스마트 워치에 내장된 리튬이온 배터리로 인해 과징금 90억 원(180억 원에서 50% 경감)을 부과받았다. 재심의에서도 90억 원 과징금 유지됐지만 제주항공이 청구한 국민권익위원회에 행정심판에서 국토부가 패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74437 제주항공에 매긴 과징금 90억 원 과다 ·· 국토부 행정심판 패소]</ref> 국토교통부에 재심의를 요구했고 그 결과 12억 원으로 대폭 경감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0272 국토부, 항공안전 위반 항공사 4곳에 과징금 36억 원 부과]</ref> 하지만 제주항공은 이조차도 과도하다며 2021년 3월 행정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6064 제주항공, 과징금 180억 → 12억 경감도 부당 행정소송 제기]</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56243 제주항공, 운항정지 위기 ·· 배터리 과징금 소송 이겼지만(2021.10.27)]</ref> 2022년 3월, 국토교통부는 운항정지 20일 처분을 내렸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84786 제주항공 배터리 불법 수송, 운항 정지 20일 처분(2022.3.11)]</ref> {{참고 | 참고1 = 제주항공 배터리 수송 과징금 부과 취소 소송 | 참고2 = | 참고3 = }} ===B787 드림라이너 운항 중지 사태 === {{온글 | 온글 = B787 배터리 문제와 운항 중지 }}{{:B787 배터리 문제와 운항 중지}}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온글 | 온글 =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 {{#lst: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BX391_battery}}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