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
==김해국제공항==
| img = File:Airport_Gimhae_1.jpg
| iata = PUS
| icao = RKPK
| open = 1976년
| location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08
| asl = 2m
| rwy1 = 18R/36L
| rwy_len1 = 3200 x 60
| rwy_remarks1 = CAT-Ⅱ
| pax = 13,694,710명 (2023년)
| freight = 113,703톤 (2023년)
| flight = 82,185회 (2023년)<ref>[https://www.airport.co.kr/www/cms/frFlightStatsCon/airportStats.do?MENU_ID=1250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ref>
| rwy2 = 18L/36R
| rwy_len2 = 2743 x 45
| rwy_remarks2 = CAT-Ⅰ
}}
김해국제공항(Gimhae International Airport)


== 개요 ==
부산, 영남권 지역의 관문 공항이자 남부지방 항공교통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공항]]이다. 국제선 여객 기준 [[인천공항]]에 이어 2위 수송량을 기록하고 있다. 김해공항은 민간이 아닌 군(軍)이 관할하는 공항이다. 공항에는 [[대한항공]] 정비사업([[MRO]])을 주관하는 테크센터가 소재하고 있다.
부산, 영남권 지역의 관문 공항이자 남부지방 항공교통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공항]]이다. 국제선 여객 기준 [[인천공항]]에 이어 2위 수송량을 기록하고 있다. 김해공항은 민간이 아닌 군(軍)이 관할하는 공항이다. 공항에는 [[대한항공]] 정비사업([[MRO]])을 주관하는 테크센터가 소재하고 있다.


25번째 줄: 7번째 줄:
일제 강점기 시절 [[비행장]]으로 선정되어 1945년 2월, '부산해군항공대'라는 이름으로 개장했다. 해방 후 미군과 우리나라 공군에 의해 운용되는 군용 비행장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비행장]]으로 선정되어 1945년 2월, '부산해군항공대'라는 이름으로 개장했다. 해방 후 미군과 우리나라 공군에 의해 운용되는 군용 비행장이 되었다.


1976년 수영장 비행장을 폐쇄하고 당시 경남 김해시 대저읍(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으로 민간 공항시설이 이전되었다. [[김포공항]]과 마찬가지로 현 소재지와는 다르게 최초 들어설 당시의 지역 명칭을 공항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1976년 수영장 비행장을 폐쇄하고 당시 경남 김해시 대저읍(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으로 민간 공항시설이 이전되었다.  


==신공항 건설==
==신공항 건설==
32번째 줄: 14번째 줄:


* [[김해신공항]]   
* [[김해신공항]]   
==참고==
* [[대한민국 공항 역사]]


{{각주}}
{{각주}}
[[분류: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