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0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MRO 산업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민국 항공 [[MRO]] 산업 현황, 2020년대부터 태동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항공 MRO 산업 현황==
 
== 개요 ==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대한항공]]을 제외하고는 자체 [[항공기]] 정비능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자체 정비능력을 어느정도 갖추고는 있으나 엔진이나 항공기 전체를 완전하게 정비하는 Overhaul 경우에는 외국 업체에 맡기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급성장 중인 [[저비용항공사]]들이 안고 있는 최대 고민 중 하나가 바로 [[MRO]], 정비서비스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대한항공]]을 제외하고는 자체 [[항공기]] 정비능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자체 정비능력을 어느정도 갖추고는 있으나 엔진이나 항공기 전체를 완전하게 정비하는 Overhaul 경우에는 외국 업체에 맡기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급성장 중인 [[저비용항공사]]들이 안고 있는 최대 고민 중 하나가 바로 [[MRO]], 정비서비스다.  


15번째 줄: 13번째 줄:
2017년 경남 사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회계부정 사건 여파로 CEO까지 물러나는 등 자칫 MRO 사업 자체가 좌초될 위기가 있었지만 KAI의 적극적인 사업 의지와 사천 지역의 일관된 요구가 반영되면서 항공정비 사업자로 선정됐다.
2017년 경남 사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회계부정 사건 여파로 CEO까지 물러나는 등 자칫 MRO 사업 자체가 좌초될 위기가 있었지만 KAI의 적극적인 사업 의지와 사천 지역의 일관된 요구가 반영되면서 항공정비 사업자로 선정됐다.


2021년 [[인천공항]]이 부지를 제공하고 샤프테크닉스케이가 이스라엘 방산업체 [[IAI]]와 항공기 개조 공장 설립 계획을 알렸다.<ref name=":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342 인천공항에 화물기 개조 공장 들어선다 (2021.5.4)]</ref> 이와 관련 경남 사천지역과 정치권은 인천공항이 현행법을 위반하면서 인천지역에 MRO 사업에 참여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남 사천지역의 요구는 MRO MR을 사천지역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인프라 및 접근성 측면에서 우리나라 [[국제선]] 관문 공항인 인천공항에 MRO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며 지역 및 정치권에 갈등이 벌어졌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034 MRO 사업두고 사천·인천공항 갈등 격화 (2021.6.2)]</ref>
2021년 [[인천공항]]이 부지를 제공하고 샤프테크닉스케이가 이스라엘 방산업체 [[IAI]]와 항공기 개조 공장 설립 계획을 알렸다.<ref name=":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342 인천공항에 화물기 개조 공장 들어선다]</ref> 이와 관련 경남 사천지역과 정치권은 인천공항이 현행법을 위반하면서 인천지역에 MRO 사업에 참여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남 사천지역의 요구는 MRO MR을 사천지역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인프라 및 접근성 측면에서 우리나라 [[국제선]] 관문 공항인 인천공항에 MRO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며 지역 및 정치권에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034 MRO 사업두고 사천·인천공항 갈등 격화]</ref>


인천은 [[아틀라스항공]] [[화물기]] [[중정비]] 센터를 인천공항에 유치한 가운데, [[대한항공]]의 항공기 엔진정비 클러스터를 유치하면서 인천지역의 항공MRO 기반을 확고히 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1833 대한항공, 영종도 엔진정비 클러스터 조성 … 인천시 협약 체결 (2022.1.5)]</ref>
인천은 [[아틀라스항공]] [[화물기]] [[중정비]] 센터를 인천공항에 유치한 가운데, [[대한항공]]의 항공기 엔진정비 클러스터를 유치하면서 인천지역의 항공MRO 기반을 확고히 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1833 대한항공, 영종도 엔진정비 클러스터 조성 … 인천시 협약 체결]</ref>
==주요 국내 MRO 사업체==
==주요 국내 MRO 사업체==
===한국항공서비스(KAEMS)===
===한국항공서비스(KAEMS)===
24번째 줄: 22번째 줄:
KAI는 2018년 6월 896억 원(신설 회사 지분의 65.8% 해당) 출자해 회사 설립해 [[한국공항공사]], 국내외 금융, 기술업체들이 각각 참여했다. 저비용항공사 가운데 자제 정비 능력 부족으로 해외에 정비를 맡겨온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도 [[KAI]] 주도의 MRO 사업에 참여했다. 신설 MRO 사명은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 Maintenance Service)'로 정해졌다.
KAI는 2018년 6월 896억 원(신설 회사 지분의 65.8% 해당) 출자해 회사 설립해 [[한국공항공사]], 국내외 금융, 기술업체들이 각각 참여했다. 저비용항공사 가운데 자제 정비 능력 부족으로 해외에 정비를 맡겨온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도 [[KAI]] 주도의 MRO 사업에 참여했다. 신설 MRO 사명은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 Maintenance Service)'로 정해졌다.


2019년 2월 21일, 제주항공 B737 항공기 C Check 수행 예정으로 본격적인 MRO 사업을 시작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04592 KAEMS, 제주항공 중정비(C Check) 수주 - 국내 정비 환경 크게 개선 (2019.1.3)]</ref>
2019년 2월 21일, 제주항공 B737 항공기 C Check 수행 예정으로 본격적인 MRO 사업을 시작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04592 KAEMS, 제주항공 중정비(C Check) 수주 - 국내 정비 환경 크게 개선]</ref>
 
{{참고
| 참고1 = 한국항공서비스
| 참고2 =
| 참고3 =
}}
 
===샤프테크닉스케이===
===샤프테크닉스케이===
[[샤프에비에이션케이]]가 51%, [[티웨이항공]] 29%,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각각 10% 출자해 설립한 항공정비업체로 2018년 12월 7일, 티웨이항공 B737 항공기 [[C Check]]를 수행함으로써<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299304 샤프, 국내 정비업체 최초로 항공기 'C-체크' 실시 (2018.12.9)]</ref> 국내에서 전문 정비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중정비]] 능력을 갖추었다.
[[샤프에비에이션케이]]가 51%, [[티웨이항공]] 29%,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각각 10% 출자해 설립한 항공정비업체로 2018년 12월 7일, 티웨이항공 B737 항공기 [[C Check]]를 수행함으로써<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299304 샤프, 국내 정비업체 최초로 항공기 'C-체크' 실시]</ref> 국내에서 전문 정비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중정비]] 능력을 갖추었다.
 
2021년 5월, 이스라엘 국영기업인 IAI와 합작해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에 항공기 개조시설을 구축하기로 투자유치 합의각서를 체결했다.<ref name=":02">[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342 인천공항에 화물기 개조 공장 들어선다 (2021.5.4)]</ref>
 
{{참고
| 참고1 = 샤프테크닉스케이
| 참고2 =
| 참고3 =
}}


2021년 5월, 이스라엘 국영기업인 IAI와 합작해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에 항공기 개조시설을 구축하기로 투자유치 합의각서를 체결했다.<ref name=":02">[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342 인천공항에 화물기 개조 공장 들어선다]</ref>
===STX에어로서비스(STX Aero Service)===
===STX에어로서비스(STX Aero Service)===
STX가 2018년 초 설립한 항공정비 자회사이다. [[착륙장치]](랜딩기어) 오버홀 정비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다.
STX가 2018년 초 설립한 항공정비 자회사이다. [[착륙장치]](랜딩기어) 오버홀 정비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다.
 
{{각주}}
=== 아틀라스에어테크니컬서비스(Atlas Air Technical Services) ===
2022년 미국 [[아틀라스항공]]과 우리나라 샤프테크닉스케이가 합작해 설립한 항공 정비 업체다. 인천공항에 아틀라스항공 아태지역 MRO 허브를 목적으로 설립했다. 2024년 착공해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8696 아틀라스, 인천공항 MRO 시설 2026년 오픈(2022.12.15)]</ref>
 
== 기타 기업 ==
 
=== 아이에이티 ===
[[대한항공]] 자회사로 [[프랫앤휘트니]] 엔진 테스트 전문 기업이다.
{{참고
| 참고1 = IAT
| 참고2 =
| 참고3 =
}}
 
=== 이엠코리아 ===
[[착륙장치]] 정비 전문 기업으로 2022년 [[FAA]]로부터 B737 랜딩기어 정비조직 인증을 확보했다.
{{참고
| 참고1 = 이엠코리아
| 참고2 =
| 참고3 =
}}
 
=== ANH(에이엔에이치스트럭쳐) ===
항공우주, 자동차, 조선, 해양 플랜트 등 분야의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참고
| 참고1 = ANH
| 참고2 =
| 참고3 =
}}
 
== 인천공항 MRO 단지 ==
2024년 4월 18일,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북서 측에 '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기공식을 개최했다. 2026년 1단계 사업 준공되면 인근 [[대한항공]] 신엔진정비공장 등과 연계해 '항공기 개조·기체·중정비·엔진정비'가 동시에 가능한 대규모 복합항공클러스터가 영종도에 탄생하게 된다. 2040년까지 3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축구장 112개 크기의 대규모 [[MRO]] 단지가 된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24493 인천공항에 대규모 MRO 단지 조성 … 축구장 112개 크기(2024.4.21)]</ref> {{각주}}
 
[[분류:정비]]
[[분류:항공시장]]
[[분류:항공정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