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동체착륙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file:belly_landing.jpg|thumb|폴란드 항공기 동체착륙 장면(2011년)]]동체착륙(Belly Landing) ==설명== [[항공기]]가 [[랜딩기어]]를 정상적으로 펼치지 못한 상태에서 항공기 동체가 지면에 직접 닿으면서 [[착륙]]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사고]] 유형 중 하나로 랜딩기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주로 발생한다. 동체착륙의 경우 대부분 기체는 망실(폐기)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일만큼 충격이 크지만 이에 반해 인명 피해는 크지 않은 편이다. ==사고 사례== ===2011년 11월 1일, LOT 사고=== [[LOT 폴란드항공]] 16편 항공기(B767)가 비행 중 [[랜딩기어]]가 탈락되어 바르샤바공항에서 동체착륙이 발생했다. 과정에서 소규모 화재(불꽃)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승객]]과 [[승무원]] 모두 부상 없이 탈출했다. 이후 하루 종일 바르샤바공항은 폐쇄됐다. ===2000년 7월 4일, 말레브항공 사고=== 부다페스트에서 출발해 테사로니키공항에 접근한 [[말레브 헝가리항공]] 262편 항공기(Tu-154)가 랜딩기어가 펼쳐지지 않은 채 착륙하려다가 [[조종사]]가 뒤늦게 인식하고 급하게 [[복행]](Go-around)했다. 체공하면서 랜딩기어의 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확인한 후 무사히 착륙했다. === 2024년 12월 29일, 제주항공 사고 === 무안공항에 착륙 중이던 제주항공 2216편 항공기가 (조류충돌로 추정되는 상황 조우 후) 랜딩기어를 전개하지 못하고 착륙을 진행하다가 활주로 끝단을 벗어나 콘크리트 구조물과 외벽 등에 강하게 충돌하면서 기체는 반파되며 화재가 발생했다. [[동체착륙]]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줄지 않아 대형 사고로 이어졌다. ([[제주항공 2216편 추락 사고]] 참고) ==참고== *[[동체]] *[[Pancake Landing]]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