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공항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
{{공항
| img =File:Baekryong apo.jpg
| img =file:Baekryong apo.jpg  
| iata = -
| iata = -
| icao = -
| icao = -
7번째 줄: 7번째 줄:
| asl = -
| asl = -
| rwy1 = -
| rwy1 = -
| rwy_len1 = 1200 x 30
| rwy_len1 = 1200m x 30m
| rwy_remarks1 =  
| rwy_remarks1 =  
| pax =  
| pax =  
13번째 줄: 13번째 줄:
| flight =  
| flight =  
}}
}}
[[백령공항]] : 2027년 개항을 목표로 건설 추진 중인 [[공항]]이다.
==백령공항==


== 개요 ==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에 약 1740억 원을 들여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소형[[공항]]이다.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에 약 2018억 원을 들여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소형[[공항]]이다. 활주로 1200미터 1본을 갖춘  '2C' 등급 공항(ICAO 기준)에 해당한다.


==건설==
==개발==
{{온글
*2013년, 백령도에 소형 공항 건설 추진
| 온글 = 백령공항 건설
*2017년, 국토부 사전타당성 검토에서 비용편익(B/C)이 2.19로 평가
}}{{:백령공항 건설}}
*2020년 5월과 12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 심의 탈락 (사유 : 아직 소형공항 운영할 환경 미조성)
*2021년 11월,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으로 선정 (※ 사업비 1,740억 원)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2023년)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 실시계획 승인(2024년)
**2025년 착공 예정
*2022년 4월, '백령공항 주변지역 발전전략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
*2022년 12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결정<ref>[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21227_0002137647 백령공항 예타 통과, 건설 확정…서해 5도 교통 혁명(2022.12.27)]</ref>


===규모 ===


==참고 ==
{{이미지
| 이미지 = http://image.kmib.co.kr/online_image/2021/1029/2021102917485684571_1635497336_0016415210.jpg
| 설명 = 백령공항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위치 :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솔개간척지 (부지 : 25만4000㎡)
*[[활주로]] : 길이 1200미터 / 폭 30미터
*여객터미널, [[계류장]], [[관제탑]]
*운항 기종 : 50인승 소형 [[항공기]]
*목적 : 민·군 겸용
 
=== 논란 ===
 
==== 무용론(운항 기종 부재) ====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50인승 이하 소형 기종은 [[하이에어]]의 ATR 72가 유일하다. 이 기종은 당초 72인승을 베이스로 개발된 것이지만 우리나라 항공운송사업법에 50인승 이하 항공기만 [[소형항공사]]에서 운용할 수 있어 불가피하게 좌석을 50석으로 축소 개조해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소형항공기]] 기준을 80인승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어 ATR 72 기종이 원래 좌석수로 복귀할 경우 백령공항 취항은 불가능하다. 이보다 더 작은 ATR 42 등의 기종이 도입되지 않을 경우 쓸모 없는 공항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건설 [[활주로]] 길이를 1200미터로 계획하고 있는 [[울릉공항]], [[흑산공항]]도 같은 문제(위험성)를 가지고 있다.
 
==== 철새 등 항공사고 위험 ====
환경 단체들은 백령공항 건설지 인근인 백령호에 수많은 철새가 도래해 항공기 [[조류충돌]] 등 [[항공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다며 건설 추진 과정에서 안전 문제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720784 환경단체 “백령공항 건설, 철새 이동 항공사고 위험 높아” (2022.10.7)]</ref>
 
==참고==


*[[울릉공항]]
*[[울릉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