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액체류 기내 반입 제한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여객기]] [[탑승]] 시 [[승객]]이 휴대할 수 있는 음료, 화장품 등 액체류는 일정량으로 제한된다.
[[여객기]] [[탑승]] 시 [[승객]]이 휴대할 수 있는 액체류는 일정량으로 제한된다.


==배경==
==배경==
15번째 줄: 15번째 줄:
그들 대부분(22명)은 파키스탄계 영국인들이었다. 용의자 중 8명은 살인 음모와 테러 행위를 저지를 혐의로 기소됐고, 3명은 테러 행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혐의, 미성년자 1명은 테러 행위 관련 자료를소지하고 있었다. 나머지 사람들은 무죄 석방되었다.
그들 대부분(22명)은 파키스탄계 영국인들이었다. 용의자 중 8명은 살인 음모와 테러 행위를 저지를 혐의로 기소됐고, 3명은 테러 행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혐의, 미성년자 1명은 테러 행위 관련 자료를소지하고 있었다. 나머지 사람들은 무죄 석방되었다.


==반입 제한 내용==
==제한 사항==


[[3-1-1]] 룰에 따라 액체류를 담은 용기는 100ml(3.4온스) 이하로 제한되며 [[승객]] 1인당 투명한 1리터 플라스틱 백에 보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3-1-1]] 룰에 따라 액체류를 담은 용기는 100ml(3.4온스) 이하로 제한되며 [[승객]] 1인당 투명한 1리터 플라스틱 백에 보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용기당 액체 용량: 100ml 이하
* 용기당 액체 용량 : 100ml 이하
* 승객 1인 당
* 승객 1인 당
* 투명한 1리터 플라스틱 백에 휴대
* 투명한 1리터 플라스틱 백에 휴대
31번째 줄: 31번째 줄:
===주류 기내 반입 기준===
===주류 기내 반입 기준===


주류: 양주, 맥주, 소주, 와인, 막걸리, 청주, 위스키, 과일주, 한방술, 미니어처술 등
주류 : 양주, 맥주, 소주, 와인, 막걸리, 청주, 위스키, 과일주, 한방술, 미니어처술 등
* 24도(%) 미만: 양의 제한 없이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가능
* 24도(%) 미만 : 양의 제한 없이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가능
* 24도(%) ~ 70도(%) 미만: 1인당 5L까지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가능
* 24도(%) ~ 70도(%) 미만 : 1인당 5L까지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가능
* 70도(%) 이상: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불가
* 70도(%) 이상 : 객실, 위탁수하물 반입 불가


=== 기준 완화 ===
=== 기준 완화 ===
2021년 [[6월 14일]], 국제선 항공편에서 100ml 초과 물티슈도 위생 목적인 경우 기내 반입 허용. 립글로스 및 립밤의 경우 액체 형태만 제한하고 고체 형태인 경우 반입 가능하도록 기준이 완화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4112 물티슈, 항공기에 가지고 타도 된다]</ref>
2021년 [[6월 14일]], 국제선 항공편에서 100ml 초과 물티슈도 위생 목적인 경우 기내 반입 허용. 립글로스 및 립밤의 경우 액체 형태만 제한하고 고체 형태인 경우 반입 가능하도록 기준이 완화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4112 물티슈, 항공기에 가지고 타도 된다]</ref>


== 항공업계 변화 ==
== 기타 ==
기술 발달로 정밀한 액체류 검사가 가능해지면서 2020년대 초반 액체류 기내 반입 기준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2년, 아일랜드의 섀넌공항은 휴대 액체류 용기 제한을 없앴다. 기존 용기 당 100ml라는 제한을 없앴으며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87800 섀넌공항, 휴대 수하물 액체류 100ml 제한 철폐]</ref>
2022년, 아일랜드의 섀넌공항은 휴대 액체류 용기 제한을 없앴다. 기존 용기 당 100ml라는 제한을 없앴으며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87800 섀넌공항, 휴대 수하물 액체류 100ml 제한 철폐]</ref>
2023년 영국은 새로운 3D 보안 스캐너 도입과 함께 액체류 기내 반입 규정을 완화했다. 런던 시티공항과 티사이드공항에서는 기존 총량 기준 1리터를 2리터로 완화해 적용했으며 2024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영국 모든 공항에서 적용될 예정이다.<ref>[https://www.mk.co.kr/news/culture/10914948 액체류 최대 2ℓ까지 들고 탈 수 있다…기내 규정 완화하는 ‘이 나라’(2024.1.6)]</ref>


==참고==
==참고==
52번째 줄: 4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여객]]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