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조원태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2007년, 상무보 승진, 유니컨버스 대표이사
*2007년, 상무보 승진, 유니컨버스 대표이사
*2009년,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장
*2009년,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장
*2013년 12월, [[한진칼]] 대표이사(2017년 사임)
*2013년 12월, 한진칼 대표이사(2017년 사임)
*2014년, 대한항공 등기이사
*2014년, 대한항공 등기이사
*2015년, 대한항공 화물사업본부장
*2015년, 대한항공 화물사업본부장
*2016년 3월, [[한국공항]], [[진에어]], 한진정보통신 대표이사 (2017년 6월 모두 사임)
*2016년 3월, 한국공항, 진에어, 한진정보통신 대표이사 (2017년 6월 모두 사임)
*2016년 1월, 대한항공 총괄 부사장 승진
*2016년 1월, 대한항공 총괄 부사장 승진
*2017년 1월, 대한항공 사장
*2017년 1월, 대한항공 사장
62번째 줄: 62번째 줄:
대한항공은 2020년 3월 10일, 조원태를 비롯한 당시 경영진이 에어버스 항공기 구매와 관련해 리베이트를 받은 적도 없고 무관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대한항공은 2020년 3월 10일, 조원태를 비롯한 당시 경영진이 에어버스 항공기 구매와 관련해 리베이트를 받은 적도 없고 무관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국세청은 2021년 1월부터 4월까지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대한항공과 정석기업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항공과 정석기업에 대해 수십억 원의 세금을 추징하기로 했다. 하지만 리베이트 의혹은 경위와 사실 등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국세청은 2021년 1월부터 4월까지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대한항공과 정석기업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항공과 정석기업에 대해 수십억 원의 세금을 추징하기로 했다. 하지만 리베이트 의혹은 경위와 사실 등이 밝혀지지 않았다.


=== 일감 몰아주기 의혹 ===
=== 일감 몰아주기 의혹 ===
81번째 줄: 81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대한항공]]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