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코로나19 사태와 항공기 개조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코로나19 사태와 항공기 개조 : 붕괴된 여객수송 시장 대신 떠오른 화물시장이 확대되면서 화물기 수요 급증 == 개요 == <onlyinclude> 2020년 초 발발한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 화물 수송의 한 축을 담당했던 [[여객기]] 운항이 중단되면서 [[벨리카고]]의 급감으로 [[항공화물]] 물류 대란이 발생했다. 화물 운임은 급등했고 수출업계는 항공기 화물 스페이스 확보 전쟁을 벌일 정도가 됐다. 이에 따라 세계 항공사들이 잇따라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했다. </onlyinclude> == 여객기 → 화물기 개조 == 화물 수송 공급력이 부족해졌지만 화물기 공급을 갑자기 늘릴 수 없었던 상황에서 [[대한항공]]은 업계 최초로 여객기 [[객실]]에서 좌석을 탈거한 다음 승객이 이용하던 객실 공간을 화물 탑재 공간으로 전환하는 모험을 시도했다. 여객기의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화물기]]의 메인 객실 탑재 능력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기존 [[화물칸]]에 객실 공간까지 화물 탑재가 가능해져 화물 수송 능력을 크게 키웠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다수의 여객기를 화물 전용 여객기로 전환하면서 화물 공급 능력을 키웠다 이 전략은 코로나19 펜데믹에 가장 성공적인 위기 타개책이 됐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은 2020년~2021년 두 해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데 [[화물 전용 여객기]]의 기여도는 절대적이었다. == 우리나라 항공사 개조 현황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2년 5월 상용 항공기 기준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비고 |- |보유 항공기 |154대 |81대 |[[비즈니스 제트기]] 등 제외 |- |[[여객기]] |131대 |69대 | |- |[[화물기]] |23대 |12대 | |- |[[Preighter]] |16대 |7대 |여객기 객실 좌석 탈거 후 메인 객실에 화물 탑재하는 항공기 (B777-300 경우 약 10~12톤 수송능력 확대) |} Preighter는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고 국제선 여객 수요가 살아나기 시작하자 항공사들은 2022년 2분기 점차 원래 여객기로 환원하기 시작했다. == 참고 == * [[화물 전용 여객기]] * [[화물기 개조]]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