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하네다공항 항공기 충돌 사고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2024년 [[1월 2일]], 일본 하네다공항에 착륙 중이던 [[일본항공]] 소속 여객기와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가 충돌해 5명이 사망한 사고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74794 하네다공항 항공기 두 대 충돌 … 해안경비대원 5명 사망(2024.1.2)]</ref>
2024년 [[1월 2일]], 일본 하네다공항에 착륙 중이던 [[일본항공]] 소속 여객기와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가 충돌해 5명이 사망한 사고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74794 하네다공항 항공기 두 대 충돌 … 해안경비대원 5명 사망(2024.1.2)]</ref>


== 사고 항공기 ==
== 항공기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구분
!구분
38번째 줄: 38번째 줄:
|}
|}


== 사고 경위 ==
== 사고 개요 ==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cdn.mainichi.jp/vol1/2024/01/03/20240103k0000m040020000p/9.jpg
| 이미지 = https://cdn.mainichi.jp/vol1/2024/01/03/20240103k0000m040020000p/9.jpg
49번째 줄: 49번째 줄: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에서는 [[기장]] 1명만 탈출했으며 나머지 5명은 사망했다. 해당 해상보안청 항공기는 전날 발생한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니가타공항으로 가려던 것이었다.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에서는 [[기장]] 1명만 탈출했으며 나머지 5명은 사망했다. 해당 해상보안청 항공기는 전날 발생한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니가타공항으로 가려던 것이었다.
== 영향 ==
사고 직후 일본항공 166편 항공기(B737-800)가 [[복행]]후 나리타공항으로 [[회항]]하는 등 다수의 항공기가 인근 공항으로 회항했으며 이륙 대기 중이던 항공편도 터미널로 되돌아갔고 하네다공항은 활주로가 폐쇄되며 항공기 이착륙이 중단됐다. 하네다공항 출도착 예정이던 약 230편 항공기 운항이 취소됐다.
오후 9시 30분경 하네다공항은 나머지 3개 활주로를 오픈하고 운항 재개에 들어갔지만 [[항공역사(1월 5일)|1월 5일]]까지 200편 이상의 항공기 운항이 취소됐다. 하네다공항 운항 능력이 30%가량 감소했다.
해상보안청은 도쿄 하네다공항에서 항공기와 헬리콥터 운항을 중단했다.
사고 활주로는 [[1월 8일]] 운영이 재개됐다.


== 사고 조사 ==
== 사고 조사 ==
일본항공은 항공기 착륙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관제탑]]으로부터 착륙 허가를 받고 이를 복창한 후 진입과 조작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일본항공은 항공기 착륙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관제탑]]으로부터 착륙 허가를 받고 이를 복창한 후 진입과 조작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성]] 조사에 따르면 사고 전 [[관제사]]는 일본항공 항공기에 대해 C활주로 진입 허가를 내리고, 해상보안청 항공기에 대해서는 C활주로 앞(C5 지점)까지 주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당시 해상보안청 항공기는 이륙을 위해 [[유도로]]에서 C활주로에 진입한 상태였다. 관제사의 주장과 배치되는 상황이다.<ref>[https://www.asiae.co.kr/article/world-general/2024010310085956445 日 하네다 항공기 충돌 책임놓고 공방…JAL "착륙과정 문제 없었다"(2024.1.3)]</ref>
[[국토교통성]] 조사에 따르면 사고 전 [[관제사]]는 일본항공 항공기에 대해 C활주로 진입 허가를 내리고, 해상보안청 항ㅇ공기에 대해서는 C활주로 앞까지 주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당시 해상보안청 항공기는 이륙을 위해 유도로에서 C활주로에 진입한 상태였다. 관제사의 주장과 배치되는 상황이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해상보안청 항공기는 C활주로와 연결되는 유도로의 정지 위치에 멈춰서지 않고 활주로에 진입했다. 이어 오후 5시 47분 30초에 같은 활주로에 착륙하던 [[일본항공]] 여객기와 충돌할 때까지 40초 동안 활주로 위에 정지해 있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40105067600073 "日해상청機, 활주로서 40초간 정지…'넘버원' 지시에 서두른듯"(2024.1.5)]</ref>
== 여파 ==
사고 직후 일본항공 166편 항공기(B737-800)가 [[복행]]후 나리타공항으로 [[회항]]하는 등 다수의 항공기가 인근 공항으로 회항했으며 이륙 대기 중이던 항공편도 터미널로 되돌아갔고 하네다공항은 활주로가 폐쇄되며 항공기 이착륙이 중단됐다. 하네다공항 출도착 예정이던 200편 이상의 항공편 운항이 취소됐다.


=== 추정 사고 요인 ===
오후 9시 30분경 하네다공항은 나머지 3개 활주로를 오픈하고 운항 재개에 들어갔다.
 
* 관제사의 지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해상보안청 항공기 조종사
* 활주로에 항공기 체류 중임에도 확인하지 못한 관제사
* 착륙 중 활주로 상 항공기 인지 못한 일본항공 조종사
 
== 기타 ==
해상보안청 사고 기체(JA722A, Dash-8)는 동일본 대지진(2011년 3월 11일) 당시 센다이공항에 있었던 기체로 당시 유일하게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었던 기체였다. 이번에는 1일 발생한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노토공항으로 출발하던 중에 사고를 당했다.


== 참고 ==
== 참고 ==
{{각주}}
{{각주}}
[[분류:항공사고]]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