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항공 중이염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 중이염(Aviation Otitis), 기압 변화로 나타나는 고막 관련 염증 == 설명 == [[항공기]]가 이착륙 시 갑작스런 기압 변화로 나타는 현상으로 중이 내 고막에 압력이 가해져 귀가 먹먹해지며 발생한 염증을 말한다. 고막 안쪽의 이관은 음식을 먹거나 하품을 할 때 저절로 열리며 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나 이것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항공 중이염을 유발하기 쉽다. 감기에 걸렸거나 비염, 축농증이 있는 경우 항공 중이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이관이 덜 발달한 어린이, [[유아]]가 이유없이 우는 경우에도 항공 중이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file:aviation_otitis.jpg]] ==항공 중이염 예방책== * 비행기가 하강을 시작할 때는 물을 자주 마시거나, 껌이나 사탕 등을 씹음으로써 이관을 자주 열어 놓는다. * 수면 중에는 귀도 잔다. 외이와 내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착륙 시 깨어 있는 것이 좋다. 유아의 경우도 잠을 재우지 말고 수유를 하거나 먹을 것을 입에 물리는 것도 좋다. * 귀 통증이 지속된다면 엄지와 검지로 코를 막고 입을 닫은 후 공기를 부풀린다. 코 뒤로 공기를 불어넣게 되면 이관이 열린다. 단, 감기나 비염환자는 세게 했을 경우. 고막손상의 우려가 있어 주의해야한다. == 참고 == * [[항공성 치통]]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은?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