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화물 전용 여객기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화물을 더 많이 탑재하기 위해 객실 좌석을 제거한 여객기 ==개요==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발로 인한 [[여객기]] 운항 급감에 따른 화물 수송 공급 능력 확대를 위해 여객 없이 [[화물]]만 수송하는 여객기를 말한다. 공식적인 운항 성격은 '여객편'이 아닌 '화물편'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여객기 운항 감소는 여객기 [[벨리카고]] 화물 수송 공급 축소를 가져왔고, 화물을 제때 실어나르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일부 항공사들이 여객 없는 화물 전용 여객기 운항을 시작했다. == 세부 사항 ==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국제선]] 여객 수요가 급감해 여객기들이 거의 대부분 [[그라운드]](운항 중단) 되는 상황이 됐다. 여객기 운항 중단 여파는 화물 수송 공급을 감소시켰고 화물운임이 2-3배 오르는 등 [[화물]] 공급 대란이 일어났다. 우리나라 [[대한항공]]은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여객기를 [[화물기]]로 전용할 수 있게 좌석을 모두 탈거해 [[화물 전용 여객기]]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 세미 화물기로 개조 === 우리나라 항공사들이 이런 분위기를 선도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은 여객기 벨리카고는 물론 기내 [[선반]]에 화물을 적재했고 이후 좌석에도 [[CSB]]를 이용해 화물을 수송하는 등 수송 능력을 확대했다. 2020년 7월, 대한항공을 시작으로 아시아나항공 등이 화물 수송 능력 극대화를 위해 객실 좌석을 탈거하고 화물을 적재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저비용항공사들도 이런 흐름에 동참했다. 2022년 4월 기준 대한항공의 좌석 탈거 여객기는 총 '''16대(B777 기종 10대, A330-300 6대)'''이며, 아시아나항공은 '''7대(A350 4대, A330 3대)'''를 운용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sense_board/1387673 대한항공 여객기 좌석 들어내 전환 작업 ·· 화물기 개조사업]</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4716 아시아나도 A350 여객기, 화물기로 개조 ·· 코로나 타개책]</ref> 대한항공의 경우 화물 수송에 [[화물 전용 여객기]]와 [[화물기]]를 월 약 3천 편(2022년 5월 기준) 운항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 전용 여객기는 도입 초기인 2020년 3월 월 약 40편이었던 것이 2021년 8월에는 약 800편, 2022년 5월에는 약 1400편으로 크게 늘었다. === 환원 === 2022년 5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화물 전용 여객기를 다시 여객기로 환원하기 시작했다. 2022년 12월 기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각각 2대만 화물 전용 여객기로 운용 중이며 2023년 초반까지 모두 여객기로 되돌릴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2022년 상반기,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은 2021년 모두 환원했다. 2023년 [[1월 16일]], 아시아나항공의 마지막 화물 전용 여객기를 여객기로 환원하며 정상화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3267 화물 여객기, 좌석 장착 여객기로 환원 완료(2023.1.16)]</ref> ==탑재 형태 구분== {| class="wikitable" |+B777-300 기준 !형태 !내용 !탑재량 !비고 |- |[[Lower Deck]] |항공기 [[화물칸]] |20톤 |[[벨리카고]] |- |[[선반]](OHB) |기내 선반 |2~3톤 | |- |[[카고시트백]](CSB) |좌석에 화물운송 전용 백 설치 |5~7톤 | |- |객실탑재(CFL) |객실 좌석 탈거 후 메인 바닥에 화물 적재 |10~12톤 |[[Cabin Floor Loading]], [[Preighter]] |} 가능한 탑재 방식을 결합할 경우 최대 35톤 정도까지 탑재 가능하다. ==참고== *[[Preighter]]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은?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