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OPE(Out of Pocket Expenses), [[수하물 지연 보상금]]
==OPE(Out of Pocket Expenses)==


== 설명 ==
나중에 상환받을 수 있지만 우선 응급으로 자기 주머니에서 먼저 꺼내 사용한다는 의미로 항공업계에서는 [[수하물]] [[지연]] 도착 시 긴급 물품 등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으로 수하물 지연 보상금이라고도 한다. 항공사마다 방침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개 클래스에 따라 50달러에서 100달러 정도 1회 지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나중에 상환받을 수 있지만 우선 응급으로 자기 주머니에서 먼저 꺼내 사용한 비용이라는 의미로 항공업계에서는 [[수하물]] [[지연]] 도착 시 긴급 물품 등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으로 [[수하물 지연 보상금]]이라고도 한다. 항공사마다 방침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개 [[클래스]]에 따라 50달러에서 100달러 정도 1회 지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항공사]]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는데 Interim Relief(IR, 임시 구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항공사]]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Interim Relief(IR, 임시 구제), [[EIP]](Essential Item Purchase Expenses)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기타==
==기타==


예전에는 DN Fee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Daily Necessary Fee 라는 의미였기 때문에 매일 50달러씩 달라고 하는 요구가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명칭을 바꾼 것이라는 소문도 있다.)
예전에는 DN Fee 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Daily Necessary Fee 라는 의미였기 때문에 매일 50달러씩 달라고 하는 요구가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명칭을 바꾼 것이라는 소문도 있다.)
 
 


==참고==
==참고==


* [[수하물]]
* [[수하물]]


{{각주}}
{{각주}}
[[분류:수하물]]
[[분류:여객]]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