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PACK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airplane_circulation.jpg|thumb|400px|항공기 기내 공기순환]]
==ACP(Air Conditioning Pack)==
PACK(Pneumatic Air Cycle Kit) : 기내 공기순환장치


 
항공기 비행 중 외부에서 엔진을 통해 유입된 뜨거운 공기([[블리드에어]])를 적절히 팽창시켜 냉각해 [[객실]], [[화물칸]] 등으로 찬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종의 에어콘이라고 할 수 있다. 줄여서 'PACK(Pneumatic Air Cycle Kit)'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설명==
항공기 비행 중 외부에서 엔진을 통해 유입된 뜨거운 공기([[블리드에어]])를 적절히 팽창시켜 냉각해 [[객실]], [[화물칸]] 등으로 찬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종의 에어콘이라고 할 수 있다. ACP(Air Conditioning Pack)이라고도 한다.
 
 
==공기 유입 단계==
 
# 외부 공기가 엔진으로 유입되면서 압축
# 압축된 공기는 유해 오존 정화 장치를 거쳐 에어콘팩으로 이동
# 에어콘팩에서 복합기관(Mixing Manifold)로 이동
# 복합기관으로 유입된 공기는 고효율 필터로 여과된 기존의 기내 공기와 50:50으로 혼합
# 혼합된 공기는 운항 중 지속적으로 기내 [[선반]]의 흡입구로 유입
# 기존의 기내 공기는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면서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
 
외부 공기가 기내로 유입되며 엔진 압축기를 거치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섭씨 200도 정도로 가열되어 멸균 상태가 된다. 기내에서 사용된 공기는 헤파필터라는 여과장치를 거치며 0.003밀리미터 이상 크기 물질을 99.9%까지 걸러낸다. 일반 가정의 먼지는 물론 담배 연기 박테리아 및 거의 모든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수준으로 병원의 수술실 정도에 해당하는 공기 질이다.
 
==기내 감염 막는 에어 커튼==
 
기본적으로 기내 공기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에어 커튼 방식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승객]]은 항상 신선하고 새로운 공기를 먼저 접하며 이런 공기는 객실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화물칸]] 등으로 흘러가 외부로 배출된다. 실제로 메르스(MERS) 사태 때도 항공기 안에서 감염 사례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는 승객이 필요한 양보다 8배 더 많으며 매 2-3분마다 기내 공기를 완전히 교환할 수 있다. 재순환 사용되는 공기를 제외하고라도 시간당 10-15회 완전히 교체될 수 있는 공기양이 공급된다.


==참고==
==참고==


* [[블리드에어]]
* [[블리드에어]]
* [[기내 공기순환장치]]


{{각주}}
{{각주}}
[[분류:항공기]]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