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비행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공항 | |||
| img = [[file:jdg_airport.jpg|280px]] | |||
| iata = JDG | |||
| icao = RKPD | |||
| open = 1998년 8월 29일 | |||
| location =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 |||
| asl = 351m | |||
| rwy1 = 01/19 | |||
| rwy_len1 = 2300m x 45m | |||
| rwy_remarks1 = | |||
| pax = | |||
| freight = | |||
| flight = | |||
| rwy2 = 15/33 | |||
| rwy_len2 = 900m x 25m | |||
| rwy_remarks2 = | |||
}} | |||
==정석비행장== | ==정석비행장== |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운영 중인 비행장으로 비행훈련원을 확장했다.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착공해 1998년 완공했다. 2,300m x 45m [[활주로]]에 계기착륙장치로 [[ILS]]가 설치되어 있어 중대형 제트 항공기도 이착륙할 수 있다. 정석(靜石)은 조중훈 전 대한항공 회장의 호다.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운영 중인 비행장으로 비행훈련원을 확장했다.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착공해 1998년 완공했다. 2,300m x 45m [[활주로]]에 계기착륙장치로 [[ILS]]가 설치되어 있어 중대형 제트 항공기도 이착륙할 수 있다. 정석(靜石)은 조중훈 전 대한항공 회장의 호다. | ||
27번째 줄: | 29번째 줄: | ||
{{각주}} | {{각주}} | ||
[[분류:공항]] | [[분류:공항]] |
2021년 5월 9일 (일) 23:20 판
접기정석비행장 | ||
---|---|---|
IATA JDG |
ICAO RKPD
| |
개항 | 1998년 8월 29일 | |
위치 |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 |
ASL | 351m | |
활주로 | ||
방향 | 길이(m) | 비고 |
01/19 | 2300m x 45m | |
15/33 | 900m x 25m | |
통계 | ||
정석비행장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운영 중인 비행장으로 비행훈련원을 확장했다.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착공해 1998년 완공했다. 2,300m x 45m 활주로에 계기착륙장치로 ILS가 설치되어 있어 중대형 제트 항공기도 이착륙할 수 있다. 정석(靜石)은 조중훈 전 대한항공 회장의 호다.
또한 지상 6층의 관제탑(높이 25m)과 항공기 정비를 위한 1200여평의 격납고 3개동, 시뮬레이터, 행정실 등을 갖춘 지상 3층(1400평) 규모의 비행훈련원 본관이 있으며, 유도로, B747-400 점보기를 2대 계류시킬 수 있는 3만5000평의 주기장도 시설돼 있다.
과거 대한항공이 사용했던 록히드마틴 L-749 콘스텔레이션, A300, B747-200[1] 항공기가 전시되어 있으며 인근에 항공박물관도 함께 위치해 있다. 정석비행장은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임시 국제공항으로 운영되기도 했다. 현재는 이곳에서는 자체 조종사 훈련 및 한국항공대학교 비행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다.
참고
각주
- ↑ B747-200 HL7463 기체는 대한항공이 최초로 도입한 B747 기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