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2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Ornithopter: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Bird)'와 '날개(Wing)'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 합성어로 새나 곤충과 같이 날개짓을 통해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말한다.
Ornithopter : '새(Bird)'와 '날개(Wing)'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 합성어


== 비행사례 ==
== 개요 ==
새나 곤충과 같이 날개짓을 통해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말한다.


* 2006년 [[7월 8일]], 토론토대학 항공우주연구소(UTIAS) James DeLaurier 박사 비행 성공
== 동력 비행 사례 ==
{{빈 문단}}
 
== 인력 비행 사례 ==
 
* 1929년, Alexander Lippisch가 설계한 비행체가 견인 발사 후 250미터 이상 비행했다.
* 1942년, Adalbert Schmid가 설계한 오니톱터는 20미터 높이에서 약 900미터 비행했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3SUymaAYkoc World's First Manned Ornithopter Adalbert Schmid 1942 Germany]</ref>
* 2006년 [[4월 20일]], Yves Rousseau가 212번의 도전 끝에 64미터 비행에 성공. 하지만 213번째 시도에서 추락해 하반신 마비라는 중상을 입었다.
* 2006년 [[7월 8일]], 토론토대학 항공우주연구소(UTIAS) James DeLaurier 박사의 UTIAS Ornithopter No.1 비행이 성공했다. 300미터를 14초간 비행했다. 이륙은 보조 동력(제트엔진)의 힘이 함께 했다.
* 2010년 [[8월 2일]], UTIAS 토드 라이허트가 스노우버드로 145미터 비행 성공
* 2010년 [[8월 2일]], UTIAS 토드 라이허트가 스노우버드로 145미터 비행 성공


9번째 줄: 18번째 줄:


* [[인력 비행기]]
* [[인력 비행기]]
* [[항공기 발달 역사]]
{{각주}}
{{각주}}

2023년 1월 22일 (일) 19:07 기준 최신판

Ornithopter : '새(Bird)'와 '날개(Wing)'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 합성어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새나 곤충과 같이 날개짓을 통해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말한다.

동력 비행 사례[편집 | 원본 편집]

내용 추가가 필요한 문단입니다.

인력 비행 사례[편집 | 원본 편집]

  • 1929년, Alexander Lippisch가 설계한 비행체가 견인 발사 후 250미터 이상 비행했다.
  • 1942년, Adalbert Schmid가 설계한 오니톱터는 20미터 높이에서 약 900미터 비행했다.[1]
  • 2006년 4월 20일, Yves Rousseau가 212번의 도전 끝에 64미터 비행에 성공. 하지만 213번째 시도에서 추락해 하반신 마비라는 중상을 입었다.
  • 2006년 7월 8일, 토론토대학 항공우주연구소(UTIAS) James DeLaurier 박사의 UTIAS Ornithopter No.1 비행이 성공했다. 300미터를 14초간 비행했다. 이륙은 보조 동력(제트엔진)의 힘이 함께 했다.
  • 2010년 8월 2일, UTIAS 토드 라이허트가 스노우버드로 145미터 비행 성공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