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안전의무보고제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 (added Category:항공정책 using HotCat)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동음이의 링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항공안전의무보고제도(ASMR) ==
항공안전의무보고제도(ASMR,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ing System)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ing System)


== 설명 ==
항공기 사고, 항공기 준사고 또는 항공 안전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항공종사자|항공 종사자]] 등 관계인이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해야 하는 제도를 말한다.
항공기 사고, 항공기 준사고 또는 항공 안전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항공종사자|항공 종사자]] 등 관계인이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해야 하는 제도를 말한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항공안전장애 중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 항공안전장애 중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20의2)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20의2)
== 주체별 보고 종류 ==
* [[ASR]](Aair Safety Report, 기장보고서)
* [[CSR]](Cabin Safety Report, 객실안전보고서)
* [[MSR]](Maintenance Safety Report, 정비안전보고서)
* [[GSR]](Ground Safety Report, 지상안전보고서)
* [[DSR]](Dispatcher Safety Report, 운항관리사 안전보고서)


== 참고 ==
== 참고 ==


* [[항공안전자율보고제도]](KAIRS)
* [[항공안전자율보고제도]](KAIRS)
*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각주}}
{{각주}}


[[분류:항공정책]]
[[분류:항공정책]]
[[분류:항공안전]]

2023년 1월 22일 (일) 22:47 기준 최신판

항공안전의무보고제도(ASMR,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ing System)

설명[편집 | 원본 편집]

항공기 사고, 항공기 준사고 또는 항공 안전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항공 종사자 등 관계인이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해야 하는 제도를 말한다.

항공 종사자 등 관계인의 범위는 항공기 기장, 항공 정비사, 항공 교통 관제사, 공항 시설을 관리하는 자, 항행 안전 시설을 관리하는 자를 말하며, 보고서의 제출 시기는 사고 및 준사고의 경우 즉시, 항공 안전 장애의 경우 항공 안전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부터 72시간 이내여야 한다.

항공안전법상 의무보고 항목[편집 | 원본 편집]

  • 항공기 사고 또는 항공기 준사고
  • 항공안전장애 중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20의2)

주체별 보고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ASR(Aair Safety Report, 기장보고서)
  • CSR(Cabin Safety Report, 객실안전보고서)
  • MSR(Maintenance Safety Report, 정비안전보고서)
  • GSR(Ground Safety Report, 지상안전보고서)
  • DSR(Dispatcher Safety Report, 운항관리사 안전보고서)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