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Toggle preferences menu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 X ]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비행할 수 없다'''라는 뜻을 가진 이 용어는 자국의 안전을 위해 [[입국]]불허 명단을 작성해 자국으로 향하는 항공편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을 말한다. [[항공사]]들은 해당 국가로부터 블랙리스트를 넘겨받아 자사 항공편에 [[예약]]하고 [[탑승]]하려는 명단과 대조해 일치하는 경우 탑승을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문서
| doc1 = No-Fly Zone
}}노플라이 (No-Fly): 자국 불법 입국을 차단하기 위해 항공기 탑승을 금지하는 것


== 개요 ==
[[파일:No-Fly.jpg|섬네일|오바마 대통령도 중간 이름(Middle name)은 후세인]]'''비행할 수 없다'''라는 뜻을 가진 이 용어는 자국의 안전을 위해 [[입국]]불허 명단을 작성해 자국으로 향하는 항공편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을 말한다. [[항공사]]들은 해당 국가로부터 블랙리스트를 넘겨받아 자사 항공편에 [[예약]]하고 [[탑승]]하려는 명단과 대조해 일치하는 경우 탑승을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No-Fly 운영하는 이유==
==No-Fly 시행하는 이유==
[[파일:No-Fly.jpg|섬네일|400픽셀|오바마 대통령도 중간 이름(Middle name)은 후세인.. <br />후세인이라는 이름은 No-Fly 리스트에 엄청나게 많아..]]
 
=== 자국 불법 입국 차단 ===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국에 테러리스트 등 자국을 불안하게 만들거나 해를 끼칠 가능성 있는 사람들의 [[입국]]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다. No-Fly 리스트에는 주로 중동 테러리스트나 남미 반정부 과격 인사들이 등재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국에 테러리스트 등 자국을 불안하게 만들거나 해를 끼칠 가능성 있는 사람들의 [[입국]]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다. No-Fly 리스트에는 주로 중동 테러리스트나 남미 반정부 과격 인사들이 등재되는 경우가 많다.


=== 항공 안전 ===
이런 테러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시행되는 [[노플라이]] 외에도 [[기내 난동]] 등으로 야기되는 항공사의 안전 운항 차질을 예방하기 위한 자체적으로 블랙리스트(탑승금지)를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 2022년 미 항공업계는 기내난동자를 '노플라이 리스트'에 포함해 탑승 금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을 행정부에 요청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9161 美, 기내난동 승객 연방정부 차원의 '노플라이' 명단 포함 검토]</ref>


==No-Fly 시행 국가==
==No-Fly 시행 국가==
가장 대표적으로 시행하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자국으로 향하는 비행편에 테러리스트의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예약]] 단계에서 모든 자국행 항공편 예약자의 명단과 자국이 작성한 블랙리스트와 대조하여 [[탑승]]을 거절하도록 [[항공사]]에 강제하고 있다. 만약 [[항공사]]가 이 대조확인이 미흡해 항공기에 미국이 [[입국]]을 금지한 인물이 탑승하고 있다면 미국은 비행 중인 항공기라 할지라도 원 목적지나 다른 곳으로 가도록 명령한다. 실제 우리나라 항공기도 이런 경우를 당해 원 목적지로 [[회항]]한 사례도 있다.
 
=== 미국 ===
가장 대표적으로 시행하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자국 출도착, 영공통과 노선(YVR, YYZ 등) 비행편에 테러리스트의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예약]] 단계에서 예약자의 명단과 자국이 작성한 블랙리스트와 대조하여 [[탑승]]을 거절하도록 [[항공사]]에 의무를 부과했다. 만약 [[항공사]]가 이 대조확인이 미흡해 항공기에 미국이 [[입국]]을 금지한 인물 탑승이 확인될 경우 설사 비행 중인 항공기라 할지라도 원 목적지나 다른 곳으로 [[회항]]하도록 명령한다. 실제 우리나라 항공기도 이런 경우를 당해 원 목적지로 회항한 사례도 있다.
 
=== 캐나다 ===
캐나다 교통부(TC, Transport Canada)는 캐나다 출도착 노선에서 SATA(Secure Air Travel Act) 리스트를 운영 중이다.
 
=== 영국 ===
영국 출도착 노선에서 No Fly List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 ===
우리나라도 유사한 제도 도입을 예정하고 있다.<ref>[항공소식] [http://www.airtravelinfo.kr/xe/1148108 사전 탑승자 확인제도로 위험, 불법입국자 차단한다]</ref> 2017년 [[4월 1일]]부로 [[탑승자 사전확인제도]](ROK No Fly List) 시행에 들어갔다.
 
=== 홍콩 ===
2024년 9월부터 출발지 공항에서 항공기 탑승 여부 결정하는 사전에 확인하는 제도를 시행한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71184 홍콩, 출발지에서 항공기 탑승 금지시킨다(2024.9.7)]</ref>




==기타==
==기타==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7684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항공 블랙 리스트(No-Fly) 일 수도 있다.]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7684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항공 블랙 리스트(No-Fly) 일 수도 있다.]


No-Fly 의 다른 의미로 [[No-Fly Zone]]을 가르키는 경우도 있다. 이때 No-Fly는 비행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비행금지구역]]을 의미한다.


No-Fly 의 다른 의미로 [[No-Fly Zone]]을 가르키는 경우도 있다. 이때 No-Fly는 비행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지역을 의미한다.
==관련 용어==


*[[SSSS]]
* [[Selectee]]


[[분류:여객]]
{{각주}}

2024년 12월 13일 (금) 01:50 기준 최신판

이 문서(페이지) 영문/한글 제목과 유사한 No-Fly Zone  등이 있습니다.

노플라이 (No-Fly): 자국 불법 입국을 차단하기 위해 항공기 탑승을 금지하는 것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오바마 대통령도 중간 이름(Middle name)은 후세인

비행할 수 없다라는 뜻을 가진 이 용어는 자국의 안전을 위해 입국불허 명단을 작성해 자국으로 향하는 항공편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을 말한다. 항공사들은 해당 국가로부터 블랙리스트를 넘겨받아 자사 항공편에 예약하고 탑승하려는 명단과 대조해 일치하는 경우 탑승을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No-Fly 시행하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자국 불법 입국 차단[편집 | 원본 편집]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국에 테러리스트 등 자국을 불안하게 만들거나 해를 끼칠 가능성 있는 사람들의 입국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다. No-Fly 리스트에는 주로 중동 테러리스트나 남미 반정부 과격 인사들이 등재되는 경우가 많다.

항공 안전[편집 | 원본 편집]

이런 테러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시행되는 노플라이 외에도 기내 난동 등으로 야기되는 항공사의 안전 운항 차질을 예방하기 위한 자체적으로 블랙리스트(탑승금지)를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 2022년 미 항공업계는 기내난동자를 '노플라이 리스트'에 포함해 탑승 금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을 행정부에 요청했다.[1]

No-Fly 시행 국가[편집 | 원본 편집]

미국[편집 | 원본 편집]

가장 대표적으로 시행하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자국 출도착, 영공통과 노선(YVR, YYZ 등) 비행편에 테러리스트의 탑승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예약 단계에서 예약자의 명단과 자국이 작성한 블랙리스트와 대조하여 탑승을 거절하도록 항공사에 의무를 부과했다. 만약 항공사가 이 대조확인이 미흡해 항공기에 미국이 입국을 금지한 인물 탑승이 확인될 경우 설사 비행 중인 항공기라 할지라도 원 목적지나 다른 곳으로 회항하도록 명령한다. 실제 우리나라 항공기도 이런 경우를 당해 원 목적지로 회항한 사례도 있다.

캐나다[편집 | 원본 편집]

캐나다 교통부(TC, Transport Canada)는 캐나다 출도착 노선에서 SATA(Secure Air Travel Act) 리스트를 운영 중이다.

영국[편집 | 원본 편집]

영국 출도착 노선에서 No Fly List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도 유사한 제도 도입을 예정하고 있다.[2] 2017년 4월 1일부로 탑승자 사전확인제도(ROK No Fly List) 시행에 들어갔다.

홍콩[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9월부터 출발지 공항에서 항공기 탑승 여부 결정하는 사전에 확인하는 제도를 시행한다.[3]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항공상식]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항공 블랙 리스트(No-Fly) 일 수도 있다.

No-Fly 의 다른 의미로 No-Fly Zone을 가르키는 경우도 있다. 이때 No-Fly는 비행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비행금지구역을 의미한다.

관련 용어[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