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기타: 오타) 태그: mobile edit mobile web edit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K-uam-corridor.jpg|섬네일|서울도심↔김포·인천공항 UAM 회랑(2024년)]]UAM 회랑 | [[파일:K-uam-corridor.jpg|섬네일|서울도심↔김포·인천공항 UAM 회랑(2024년)]]UAM 회랑: UAM 비행체가 비행하는 구역/항로 | ||
== 개요 == | == 개요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기타 == | == 기타 == | ||
우리나라는 초기(2025~2029년), 성장기(2030~ | 우리나라는 초기(2025~2029년), 성장기(2030~2034년), 성숙기(2035년 이후)로 구분해 운용 전략을 구상해 도심항공교통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 ||
== 참고 == | == 참고 == |
2024년 3월 23일 (토) 22:02 기준 최신판
UAM 회랑: UAM 비행체가 비행하는 구역/항로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 도심항공교통 운용개념서 1.0(2021년 발간)에 따르면 우리나라 UAM 회랑은 고도 300~600미터 사이에서 운용된다. 이는 드론 운용 고도보다 최소 150미터 높게 설정해 운용 범위가 중복되지 않도록 했다.[1]
UAM 회랑 구성[편집 | 원본 편집]
- 고정형 회랑 : 시·종점 버티포트를 1:1로 연결하여 상시 운영하는 회랑. 다른 UAM 회랑과 중첩·교차·연결되는 부분이 없이 독립적으로 관리
- 고정형 회랑망 : 고정형 회랑을 서로 연결하여 상시 운영하는 회랑의 집합. UAM은 회랑의 연결망(Network)을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노선으로 운항이 가능
- 동적 회랑망 : 상시 운영되는 회랑에 의존하지 않고 UAM서비스 호출 시마다 최적 경로로 정의되어 개설·폐지되는 회랑의 집합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는 초기(2025~2029년), 성장기(2030~2034년), 성숙기(2035년 이후)로 구분해 운용 전략을 구상해 도심항공교통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