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문서 : FIDS » FIDS » FIDS » FIDS » REAC

REAC: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새 문서: Reaccommodation(재숙박) 약어 == 설명 == Reaccommodation의 약어로 '다시 제공되는 숙박', '다시 제공되는 편의' 등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대개 항공사가 지연, 결항 등이 발생할 때 예약자를 대상으로 숙박이나 편의를 제공할 때 사용한다. == 내용 == 기상이나 정비 등의 상황 때문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결항될 때 항공사는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기타 ==
== 기타 ==
제공하는 숙박, 편의 등은 항공사가 임의대로 결정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형태로 승객이 직접 선택하는 방식도 나타나고 있다. ([[아마데우스]] 셀프 Reaccommodation)<ref>[https://amadeus.com/en/airlines/products/self-re-accommodation Amadeus Self Re-accommodation]</ref>
제공하는 숙박, 편의 등은 항공사가 임의대로 결정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형태로 승객이 직접 선택하는 방식도 나타나고 있다. 승객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식이다.([[아마데우스]] 셀프 Reaccommodation)<ref>[https://amadeus.com/en/airlines/products/self-re-accommodation Amadeus Self Re-accommodation]</ref>


== 참고 ==
== 참고 ==
14번째 줄: 14번째 줄:
* [[IROPS|IROP]]([[비정상 운항]])
* [[IROPS|IROP]]([[비정상 운항]])
{{각주}}
{{각주}}
[[분류:비정상운항]]

2025년 3월 3일 (월) 19:08 기준 최신판

Reaccommodation(재숙박) 약어

설명[편집 | 원본 편집]

Reaccommodation의 약어로 '다시 제공되는 숙박', '다시 제공되는 편의' 등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대개 항공사가 지연, 결항 등이 발생할 때 예약자를 대상으로 숙박이나 편의를 제공할 때 사용한다.

내용[편집 | 원본 편집]

기상이나 정비 등의 상황 때문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결항될 때 항공사는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편의를 제공하곤 한다. 지연 시간에 야간이 포함될 경우 숙박 시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FSC로 분류되는 항공사에서는 거의 당연하게 제공되지만 LCC 등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제공하는 숙박, 편의 등은 항공사가 임의대로 결정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형태로 승객이 직접 선택하는 방식도 나타나고 있다. 승객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식이다.(아마데우스 셀프 Reaccommodation)[1]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