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철: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김종철==
==김종철==


[[제주항공]] 대표를 역임했으며 [[에어프레미아]] 출범을 주도했던 경영인이다. 제주항공 대표를 맡아 1년 만에 흑자로 전환시키며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2017년 에어피에어를 설립해 중장거리 하이브리드 항공사([[HSC]])를 꿈꾸며 취항을 준비했으나 그 과정에서 투자자 및 기타 경영진과의 갈등으로 정식 취항하기도 전에 2019년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21244 에어프레미아 김종철 대표 사의 표명 ·· 면허 취소로 이어지나]</ref>
[[제주항공]] 대표를 역임했으며 [[에어프레미아]] 출범을 주도했던 경영인이다. 제주항공 대표를 맡아 1년 만에 흑자로 전환시키며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2017년 에어피에어를 설립해 중장거리 하이브리드 항공사([[HSC]])를 꿈꾸며 취항을 준비했으나 그 과정에서 투자자 및 기타 경영진과의 갈등으로 정식 [[취항]]도 하기 전에 2019년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21244 에어프레미아 김종철 대표 사의 표명 ·· 면허 취소로 이어지나]</ref>


==이력==
==이력==
18번째 줄: 18번째 줄:
: 특히 비용절감과 효율성 면에서 탁월한 선택을 보였다. 제주항공 출범 초창기 주력 기종이었던 Q400 항공기를 정리해 기종을 B737-800으로 일원화했으며 일본, 동남아 지역 취항을 적극적으로 결정해 낮에는 국내선, 밤에는 동남아 노선 등으로 [[항공기 가동률]]을 높였다.
: 특히 비용절감과 효율성 면에서 탁월한 선택을 보였다. 제주항공 출범 초창기 주력 기종이었던 Q400 항공기를 정리해 기종을 B737-800으로 일원화했으며 일본, 동남아 지역 취항을 적극적으로 결정해 낮에는 국내선, 밤에는 동남아 노선 등으로 [[항공기 가동률]]을 높였다.


* 2017년 7월 ~ 2019년 5월, 에어프레미아 대표
* 2017년 7월 ~ 2019년 5월, [[에어프레미아]] 대표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