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flight =  
| flight =  
}}
}}
==울릉공항==
'''울릉공항'''


도서 지역인 울릉도에 건설되는 [[공항]]으로 1200미터 [[활주로]] 1본과 여객[[터미널]] 등으로 2025년 5월 개항 예정이다. 50인승 ATR 42 기종을 기본 설계 항공기로 삼았다.
도서 지역인 울릉도에 건설되는 [[공항]]으로 1200미터 [[활주로]] 1본과 여객[[터미널]] 등으로 2025년 5월 개항 예정이다. 50인승 ATR 42 기종을 기본 설계 항공기로 삼았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건설 과정==
==건설 과정==


울릉공항은 [[흑산공항]]과 더불어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5년 수립된 기본계획에<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7282 울릉도/흑산도 공항 건설 - 유스카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호재]</ref> 따라 건설을 시작해 2021년 개항을 목표로 했었지만 애초 사업비 5805억 원이 타당성 부족으로 입찰이 무산되면서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태에 들어갔다. 여기에 철새 서식지 등 환경 문제가 불거지고 공군 훈련지역과의 [[공역]]이 겹치는 문제가 추가되었다.
울릉공항은 [[흑산공항]]과 더불어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5년 수립된 기본계획에<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7282 울릉도/흑산도 공항 건설 - 유스카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호재 (2015.12.4)]</ref> 따라 건설을 시작해 2021년 개항을 목표로 했었지만 애초 사업비 5805억 원이 타당성 부족으로 입찰이 무산되면서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태에 들어갔다. 여기에 철새 서식지 등 환경 문제가 불거지고 공군 훈련지역과의 [[공역]]이 겹치는 문제가 추가되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기본 설계를 재진행했고 지질조사, 수심측량 등을 통해 사업비를 산정하면서 일부 설계 변경을 통해 절감방안도 도출해 냈다. 아울러 군 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2019년 4월 [[항로]]를 신설하기로 확정하면서 최종 걸림돌이 사라졌다.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총 사업비 6633억 원 확정을 받아 공식적으로 건설이 가능해졌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20923 2025년 울릉공항 개항, 6633억 원 건설 발주]</ref>
국토교통부는 2017년 기본 설계를 재진행했고 지질조사, 수심측량 등을 통해 사업비를 산정하면서 일부 설계 변경을 통해 절감방안도 도출해 냈다. 아울러 군 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2019년 4월 [[항로]]를 신설하기로 확정하면서 최종 걸림돌이 사라졌다.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총 사업비 6633억 원 확정을 받아 공식적으로 건설이 가능해졌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20923 2025년 울릉공항 개항, 6633억 원 건설 발주 (2019.5.1)]</ref>


2020년 8월, 기본 설계안이 다소 변경되었다. 당초 [[DVOR]]/[[DME]] 등의 장비 조건의 [[시계접근]]절차를 기본으로 했지만 계기[[정밀접근절차]]도 가능하도록 [[ILS]] 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리고 [[활주로]] 및 [[착륙대]] 폭을 확장하고 [[주기장]] 추가 확보 등을 위해 전체 공항 부지 조성 면적이 43만455㎡로 2015년 기본계획 수립 당시보다 1만7505㎡ 더 넓어진다.
2020년 8월, 기본 설계안이 다소 변경되었다. 당초 [[DVOR]]/[[DME]] 등의 장비 조건의 [[시계접근]]절차를 기본으로 했지만 계기[[정밀접근절차]]도 가능하도록 [[ILS]] 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리고 [[활주로]] 및 [[착륙대]] 폭을 확장하고 [[주기장]] 추가 확보 등을 위해 전체 공항 부지 조성 면적이 43만455㎡로 2015년 기본계획 수립 당시보다 1만7505㎡ 더 넓어진다.


2020년 상반기 착공 예정이었으나 기본 설계안이 다소 변경되며서 일정이 지연되었다. 국토교통부는 [[11월 26일]] 착공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9690 서울서 울릉도까지 1시간 울릉공항, 26일 착공 ·· 2025년 개항]</ref> 부지보상비, 공항건설비, 2020년 9월 태풍으로 무너진 사동항 방파제 복구비 등을 더해 총 사업비는 7,067억 원이 됐다.
2020년 상반기 착공 예정이었으나 기본 설계안이 다소 변경되며서 일정이 지연되었다. 국토교통부는 [[11월 26일]] 착공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9690 서울서 울릉도까지 1시간 울릉공항, 26일 착공 ·· 2025년 개항 (2020.11.17)]</ref> 부지보상비, 공항건설비, 2020년 9월 태풍으로 무너진 사동항 방파제 복구비 등을 더해 총 사업비는 7,067억 원이 됐다.


==건설 논란==
==건설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