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Mriya: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우주 왕복선 수송이라는 목적 만큼이나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스트래토런치]]가 탄생하기 전까지 '''현존하는 항공기 중에 가장 큰 기종'''이었다. 소비에트 연방 해체와 함께 용도를 잃어버려 단 한 대만 제작되었고 실제 운항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간혹 거대 화물 운송 등에 이용되곤 한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63027 첫 호주 상용 비행에 나서는 세계 최대 항공기 An-225]</ref>
우주 왕복선 수송이라는 목적 만큼이나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스트래토런치]]가 탄생하기 전까지 '''현존하는 항공기 중에 가장 큰 기종'''이었다. 소비에트 연방 해체와 함께 용도를 잃어버려 단 한 대만 제작되었고 실제 운항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간혹 거대 화물 운송 등에 이용되곤 한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63027 첫 호주 상용 비행에 나서는 세계 최대 항공기 An-225 (2016.5.12)]</ref>


{{이미지
{{이미지
12번째 줄: 12번째 줄:
}}
}}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무력으로 침공하면서 공습에 의해 파괴됐다. 복구에 30억 달러, 5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해 사실상 항공역사에서 사라지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82562 세계 최대 수송기 '므리야', 러시아 공습으로 파괴]</ref>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무력으로 침공하면서 공습에 의해 파괴됐다. 복구에 30억 달러, 5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해 사실상 항공역사에서 사라지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82562 세계 최대 수송기 '므리야', 러시아 공습으로 파괴 (2022.2.28)]</ref>


==연혁==
==연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