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B737NG 동체 균열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737NG 동체 균열 사건==
==B737NG 동체 균열 사건==
[[file:pickle_fork.jpg|thumb|400px|항공기 동체와 날개 연결 부위, 피클포크]]
[[file:pickle_fork.jpg|thumb|400px|항공기 동체와 날개 연결 부위, 피클포크]]
2019년 10월, 보잉의 베스트셀러 [[항공기]]인 B737 기종 가운데 [[B737NG]] 버전에서 동체 균열이라는 결함이 발견된 사건으로 크랙이 발견된 항공기는 결함이 해소될 때까지 즉시 운항이 중지되었다.
2019년 10월, 보잉의 베스트셀러 [[항공기]]인 B737 기종 가운데 [[B737NG]] 버전에서 동체 균열이라는 결함이 발견된 사건으로 크랙이 발견된 항공기는 결함이 해소될 때까지 즉시 [[운항]]이 중지되었다.


==크랙 내용==
==크랙 내용==
13번째 줄: 13번째 줄:
미 연방항공청([[FAA]])은 10월 전 세계 3만 회 이상 비행한 B737NG 항공기에 대해 전면 점검하도록 지시했다. 항공사에 따라서는 비행 횟수 2만 회 등을 기준으로 항공기 점검에 들어갔다. 보잉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천 대가 점검 대상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11월 5일 기준으로 조사한 약 1100여 대 가운데 53대에서 균열(크랙)이 발견되었다.
미 연방항공청([[FAA]])은 10월 전 세계 3만 회 이상 비행한 B737NG 항공기에 대해 전면 점검하도록 지시했다. 항공사에 따라서는 비행 횟수 2만 회 등을 기준으로 항공기 점검에 들어갔다. 보잉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천 대가 점검 대상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11월 5일 기준으로 조사한 약 1100여 대 가운데 53대에서 균열(크랙)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 [[항공사]]들이 운용 중인 B737NG 가운데서도 동체 크랙이 발견되었다. 11월 6일, 3만 회 이상 비행한 B737NG 가운데 대한항공 5대, 진에어 3대, 제주항공 1대에서 크랙이 발견되었으며 비행 횟수 3만 회 이하였던 이스타항공 2대에서도 크랙이 발견되어 모두 비행이 중지되었다.
우리나라 [[항공사]]들이 운용 중인 B737NG 가운데서도 [[동체]] 크랙이 발견되었다. 11월 6일, 3만 회 이상 비행한 B737NG 가운데 대한항공 5대, 진에어 3대, 제주항공 3대에서 크랙이 발견되었으며 비행 횟수 3만 회 이하였던 이스타항공 2대에서도 크랙이 발견되어 모두 비행이 중지되었다.


2019년 11월, 그 외에도 새롭게 균열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피클포크에 위치다. 미국 [[FAA]]는 기존에 점검을 완료했던 항공기에 대해서도 재점검 지시가 나올 예정이다.
2019년 11월, 그 외에도 새롭게 균열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피클포크에 위치다. 미국 [[FAA]]는 기존에 점검을 완료했던 항공기에 대해서도 재점검 지시가 나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