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안창남: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인물
| 직업 = 비행사, 독립운동가
| 직업 = 비행사, 독립운동가
| 출생 = 1901/3/19
| 출생 = 1901년 [[3월 19일]]
| 사망 = 1930/4/2
| 사망 = 1930년 [[4월 2일]]
| 나이 = {{나이|1901|3|19|1930|4|2}}
| 나이 = {{나이|1901|3|19|1930|4|2}}
| 이미지 = file:an_changnam.jpg
| 이미지 = file:an_changnam.jpg
11번째 줄: 11번째 줄:
==생애==
==생애==


=== 비행사 ===
===비행사===
1901년 태어난 그는 3.1운동 직후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0년 오구리 비행학교에 입학해 [[비행기]] 제조법 및 조종기술을 공부해 1921년 5월 일본 최초로 시행된 비행사 자격시험에 합격해 정식 비행사가 되었다. 당시 17명 시험에 응해 단 두 명 합격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안창남]]이었다.
1901년 태어난 그는 3.1운동 직후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0년 오구리 비행학교에 입학해 [[비행기]] 제조법 및 조종기술을 공부해 1921년 5월 일본 최초로 시행된 비행사 자격시험에 합격해 정식 비행사가 되었다. 당시 17명 시험에 응해 단 두 명 합격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안창남]]이었다.


1922년 도코-오사카 구간 우편비행 대회에 참가해 최우수상을 받는 등 탁월한 실력을 자랑했다. 동아일보의 초청으로 그해 12월 5일에 여의도 백사장에 도착해 10일, 우리나라 지도를 그려넣은 [[금강호]]를 타고 모국 방문 비행을 실시해 일시에 유명인이 되었다. 당시 여의도 백사장에 비행을 보러 나온 사람은 5만 명에 달했다고 알려졌다. 이날 비행은 두 차례 시행해 각각 13분, 5분 동안 하늘을 날았다. 우리나라 상공에서 비행한 최초의 한국인 비행사다.
1922년 도코-오사카 구간 우편비행 대회에 참가해 최우수상을 받는 등 탁월한 실력을 자랑했다. 동아일보의 초청으로 그해 12월 5일에 여의도 백사장에 도착해 10일, 우리나라 지도를 그려넣은 [[금강호]]를 타고 모국 방문 비행을 실시해 일시에 유명인이 되었다. 당시 여의도 백사장에 비행을 보러 나온 사람은 5만 명에 달했다고 알려졌다. 이날 비행은 두 차례 시행해 각각 13분, 5분 동안 하늘을 날았다. 우리나라 상공에서 비행한 최초의 한국인 비행사다.


=== 독립운동가 ===
===독립운동가===
1924년 중국으로 망명해 중국군 소속으로 근무했고 조선청년동맹에 가입해 독립운동에도 참여했다. 여운형의 주선으로 중국에서 비행학교 교장으로 [[비행사]]를 양성했다. 1930년 4월 2일 비행 중 엔진 결함으로 추락해 29세 젊은 나이로 세상을 달리했다. 독립운동에 참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1924년 중국으로 망명해 중국군 소속으로 근무했고 조선청년동맹에 가입해 독립운동에도 참여했다. 여운형의 주선으로 중국에서 비행학교 교장으로 [[비행사]]를 양성했다. 1930년 4월 2일 비행 중 엔진 결함으로 추락해 29세 젊은 나이로 세상을 달리했다. 독립운동에 참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