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관문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의미: 지금은 없으나 관문공항은 2000년 초까지 김해, 김포, 제주에 존재했었다.)
6번째 줄: 6번째 줄:
한 국가의 현관을 담당하는 [[공항]]이라는 의미로서, [[국제선]] 운항에 따른 한 국가의 첫 도착지·마지막 출발지가 되는 국제공항 기능을 가진다.([[ICAO]])
한 국가의 현관을 담당하는 [[공항]]이라는 의미로서, [[국제선]] 운항에 따른 한 국가의 첫 도착지·마지막 출발지가 되는 국제공항 기능을 가진다.([[ICAO]])


[[관문공항]]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 공식 공항위계(중추공항, 거점공항, 일반공항)에는 없는 용어다. '중추공항'과 '[[거점공항]]'이 관문공항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관문공항]]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 공식 공항위계(중추공항, 거점공항, 일반공항)에는 없는 용어다. 실상은 인천공항 개항전인 2000년도까지는 김포, 김해, 제주 3공항이 당시 기준의 관문공항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나, 인천공항이 국가 허브 및 국가 관문공항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최고등급으로 등극하면서, 자연스레 명칭을 관문공항에서 당시 기준 대형 거점공항으로 바뀌어 격하된 느낌을 주게 된다.
 
 
'중추공항'과 '[[거점공항]]'이 관문공항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