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연혁: 추가수정(에어프레미아 홍보팀장 수정본입니다))
185번째 줄: 185번째 줄:
중대형 기종을 운용하는 만큼 화물사업도 운항 초창기부터 추진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중 여객사업이 거의 멈춰선 가운데 유일한 탈출구였던 화물사업에 뛰어들었다. 2021년 ▲싱가포르 ▲호치민 ▲방콕 ▲키르키스스탄 노선 화물전용 부정기편을 시작으로 국제선 화물사업을 시작했다. 2023년 1월 [[순화물]]은 929톤을 수송했으며 9월에는 1806톤을 수송하며 2배 가까운 성장을 보였다.<ref>[https://www.etnews.com/20231030000350 에어프레미아, 화물 사업 안착…올해 '2만톤' 넘겼다(2023.10.30)]</ref>
중대형 기종을 운용하는 만큼 화물사업도 운항 초창기부터 추진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중 여객사업이 거의 멈춰선 가운데 유일한 탈출구였던 화물사업에 뛰어들었다. 2021년 ▲싱가포르 ▲호치민 ▲방콕 ▲키르키스스탄 노선 화물전용 부정기편을 시작으로 국제선 화물사업을 시작했다. 2023년 1월 [[순화물]]은 929톤을 수송했으며 9월에는 1806톤을 수송하며 2배 가까운 성장을 보였다.<ref>[https://www.etnews.com/20231030000350 에어프레미아, 화물 사업 안착…올해 '2만톤' 넘겼다(2023.10.30)]</ref>


==보유 항공기==
==항공기==


다른 LCC와 달리 [[광동체]]에 속하는 보잉사의 787-9으로 기단을 일원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미 미국의 ALC(Air Lease Corporation)라는 항공기 리스회사를 통해 3대분의 리스계약을 체결하였고, 보잉사에서 [[항공기]] 제작 중으로 알려져있다. 1호기가 2020년 7월 국내로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항공기 결함 등이 발견되며 지연되어 2021년 2월, 한 대만 우선 도입했다. 2026년까지 총 10대 기단 확보 예정이다. 2022년 [[9월 27일]] 2호기, [[10월 8일]] 3호기를 각각 도입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1064 에어프레미아, B787 2호기 도입 … LA 취항 준비 완료 (2022.9.2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1856 에어프레미아 B787 3호기 도착 … 美 취항 기재 완비 (2022.10.8)]</ref>
다른 LCC와 달리 [[광동체]]에 속하는 보잉사의 787-9으로 기단을 일원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미 미국의 ALC(Air Lease Corporation)라는 항공기 리스회사를 통해 3대분의 리스계약을 체결하였고, 보잉사에서 [[항공기]] 제작 중으로 알려져있다. 1호기가 2020년 7월 국내로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항공기 결함 등이 발견되며 지연되어 2021년 2월, 한 대만 우선 도입했다. 2026년까지 총 10대 기단 확보 예정이다. 2022년 [[9월 27일]] 2호기, [[10월 8일]] 3호기를 각각 도입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1064 에어프레미아, B787 2호기 도입 … LA 취항 준비 완료 (2022.9.2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1856 에어프레미아 B787 3호기 도착 … 美 취항 기재 완비 (2022.10.8)]</ref>
211번째 줄: 211번째 줄:
===국제선(여객)===
===국제선(여객)===


*인천-싱가포르 : 2022년 7월
*인천-싱가포르: 2022년 7월
*인천-호치민 : 2022년 10월
*인천-호치민: 2022년 10월
* 인천-로스앤젤레스 : 2022년 10월
* 인천-로스앤젤레스: 2022년 10월
*인천-도쿄 : 2022년 12월
*인천-도쿄: 2022년 12월
*인천-뉴욕 : 2023년 5월 (계획)
*인천-뉴욕: 2023년 5월 (계획)


== 사건/사고==  
== 사건/사고==  
225번째 줄: 225번째 줄:
===지분 현황===
===지분 현황===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3년 7월 기준
|+2024년 3월 기준
!주주
!주주
!비중(%)
!비중(%)
!비고
!비고
|-
|AP홀딩스
|43.6%
|김정규 회장 + 문보국
|-
|-
|JC파트너스
|JC파트너스
|35.3%
|22.1%
|제이씨에비에이션+제이씨성장지원 (JC파트너스)
|제이씨에비에이션+제이씨성장지원 (JC파트너스)
|-
|AP홀딩스
|30.4%
|김정규 회장 + 문보국
|-
|-
|[[박봉철]]
|[[박봉철]]
251번째 줄: 251번째 줄:
|}
|}
2023년 7월, JC파트너스는 지불 절반(21.4%)을 AP홀딩스에 매각했다. AP홀딩스는 타이어뱅크 김정규 회장과 문보국 전 레저큐 대표가 합작 설립한 법인이다. (JC파트너스 35.3%, AP홀딩스 30.4%)<ref>[http://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3070380164 JC파트너스, 에어프레미아 지분 절반 AP홀딩스에 매각…공동 경영 체제로(2023.7.3)]</ref>
2023년 7월, JC파트너스는 지불 절반(21.4%)을 AP홀딩스에 매각했다. AP홀딩스는 타이어뱅크 김정규 회장과 문보국 전 레저큐 대표가 합작 설립한 법인이다. (JC파트너스 35.3%, AP홀딩스 30.4%)<ref>[http://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3070380164 JC파트너스, 에어프레미아 지분 절반 AP홀딩스에 매각…공동 경영 체제로(2023.7.3)]</ref>
2024년, AP홀딩스가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13.2% 인수해 최대주주가 됐다.(AP홀딩스 43.6%, JC파트너스 22.1%)


=== 지배 구조 ===
=== 지배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