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출입국 정보

항공위키
몽골 출입국 정보
대한민국 국민
비자 무비자
체류기간 90일
ETA 없음
신고서 도착 후 작성
참고
비자면제
각국의 입국허가 요건

몽골 출입국 관련 규정 및 기준과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무비자 입국[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 국민은 원칙적으로는 몽골 입국에 비자가 필요하다. 다만 몽골 정부는 우리 국민에 대해 한시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90일 체류 가능하다. (2022.6.1 ~ 2025.12.31 기간 중 한시적으로 시행)[1]

조건[편집 | 원본 편집]

  • 출발지 귀국 왕복항공권 또는 제3국 이원 항공권 소지

주의사항[편집 | 원본 편집]

관광 외 목적(비즈니스, 거주, 취업 등)을 위해 몽골을 방문하는 경우 목적에 맞는 비자를 취득해야 한다.

출입국 일반[편집 | 원본 편집]

입국 후 체류 신고[편집 | 원본 편집]

모든 방문자는 몽골 도착 후 10일 이내에 경찰에 신고(등록)해야 한다.

코로나19 관련[편집 | 원본 편집]

2022년 3월 14일부터 입국 시 코로나19 PCR 음성확인서 및 신속항원검사결과서 제시할 필요 없다. 입국 후 격리 의무 없다.

미성년자 출입국[편집 | 원본 편집]

  • UM: ▲공증된 부모 동의서(영문) ▲영문 가족관계증명서
  • 부모 외 보호자 동반 시: ▲공증된 부모 동의서(영문) ▲영문 가족관계증명서

몽골 국적의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는 단독 출국 불가(UM 불가)

세관[편집 | 원본 편집]

면세 범위[편집 | 원본 편집]

  • 주류: 위스키(보드카) 1리터, 와인 2리터, 맥주 3리터
  • 담배: 궐련 200개비 또는 엽궐련(시가) 50개비 또는 가루 담배 250g 이하
  • 향수: 관련 규정 없음
  • 면세한도: 여행 목적, 기간에 따라 컴퓨터, 핸드폰, 비디오카메라, 가정용 전자제품 각 1대

외국환/통화[편집 | 원본 편집]

  • 입국 시 신고한 액수 반입/반출 가능

식품[편집 | 원본 편집]

  • 여행 중 사용 식품 및 재가공이 필요없는 식품은 반입 인정

반입 금지 물품[편집 | 원본 편집]

  • 미가공이거나 재가공이 필요한 축산-동물-식물성 원료, 공장용 원료, 물품, 화학 및 광선성 물질, 유전자 변형 식품
  • 주사액 혈관약, 마약, 일반백신의약품

수하물[편집 | 원본 편집]

몽골 첫 번째 입국 공항에서 통관 처리해야 한다.

검역[편집 | 원본 편집]

예방 접종[편집 | 원본 편집]

별도 요구되는 예방 접종 없음

애완 동물[편집 | 원본 편집]

개, 고양이: 건강증명서 필요

◀주의 사항▶ 각 국가들은 외국으로부터 자국으로의 생동물, 식물 등 반입을 엄격히 금지, 제한하고 있다. 반려동물 역시 마찬가지여서 가고자 하는 국가에서 요구하는 서류, 예방접종 등의 준비사항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관련 서류를 소지하지 않으면 항공기 탑승이 불가하고, 도착지에서도 폐기되거나 억류될 수 있다.
① 국가별 규정 확인 ② 검역증명서 발급 ③ 반려동물 운반 용기 준비 ④ 운송 승인 받기 ⑤ 공항 도착 및 수속

여행 정보[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에서 발급한 운전면허증(국내)과 국제운전면허로는 몽골 내 운전 불가

각주


  1. 무사증 입국 허가 조치 1년씩 연장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