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5,204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경영 위기)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경영 위기== | ==경영 위기== | ||
항공업으로 시작해 전세계에 항공, 부동산, 호텔, 물류, 은행 사업을 거느린 총자산 1조 위안의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한 하이난항공그룹(하이항그룹)은 공격적인 해외 기업 인수합병 전략을 구사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 정부와의 유착설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문어발식 기업 인수합병 후유증으로 대규모 부채 문제를 떠안았다. 2019년 상반기 기준으로 [[하이항그룹]]의 총자산 9,806억 위안에 부채 | 항공업으로 시작해 전세계에 항공, 부동산, 호텔, 물류, 은행 사업을 거느린 총자산 1조 위안의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한 하이난항공그룹(하이항그룹)은 공격적인 해외 기업 인수합병 전략을 구사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 정부와의 유착설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문어발식 기업 인수합병 후유증으로 대규모 부채 문제를 떠안았다. 2019년 상반기 기준으로 [[하이항그룹]]의 총자산 9,806억 위안에 부채 7,067억 위안으로 부채율이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2019년 결산 6억5000만 위안 순익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는 자회사 텐진항공 지분 48%를 매각해 22억 위안을 확보하는 등 막대한 자산을 매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순익에는 정부 보조금 3억 6천만 위안도 포함되어 있다. | ||
2019년 말 천펑 회장은 공식적으로 경영 위기를 시인했다. 만기 도래하는 1천억 위안(약 17조 원)에 달하는 채무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설상가상으로 2020년 1월 불거진 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그룹의 경영난은 더욱 심화되어 위기에 처했으나, 하이난성 정부가 채무를 대신 변제했고 하이항그룹을 다른 중국 기업에 매각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61057 경영 위기 하이난항공그룹, 중국 정부가 인수 추진]</ref> | 2019년 말 천펑 회장은 공식적으로 경영 위기를 시인했다. 만기 도래하는 1천억 위안(약 17조 원)에 달하는 채무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설상가상으로 2020년 1월 불거진 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그룹의 경영난은 더욱 심화되어 위기에 처했으나, 하이난성 정부가 채무를 대신 변제했고 하이항그룹을 다른 중국 기업에 매각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61057 경영 위기 하이난항공그룹, 중국 정부가 인수 추진]</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