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B787 배터리 문제와 운항 중지: 두 판 사이의 차이

3,24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9일 (목)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 B787 드림라이너 배터리 문제로 인한 운항 중지 == {{각주}} 분류:항공기 분류:항공안전 )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B787 드림라이너 배터리 문제로 인한 운항 중지 ==
== B787 드림라이너 배터리 문제로 인한 운항 중지 ==


2011년 상용비행을 시작했던 보잉의 B787 [[드림라이너]] 항공기가 잦은 결함이 이어졌고 급기야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크고 작은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2013년 1월 미국 연방항공청([[FAA]])을 비롯해 해당 기종을 운용하는 국가, 항공사들이 잇달아 운항중지 명령을 내렸고 정비를 거쳐 약 3개월 후 운항이 재개된 사건이다.


== 사건 흐름 ==
사건의 발단은 가장 먼저 도입했던 일본 전일공수와 일본항공 B787 항공기였다. 2013년 전기계통 화재와 함께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전기계통 화재는 여러번 발생하면서 전기계통에 큰 결함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각주}}
2013년 1월 7일, 보스톤공항에서 일본항공 소속 B787 화재, 8일과 13일에는 이륙대기 중 연료 누출 사고가 발생했고, 전일공수 역시 11일 나리타공항에서 연료누출 사고가 있었다. 전일공수는 결함 관련해 몇 차례 배터리 교체가 있었다.
 
=== 주요 사고 ===
 
* [[1월 7일]], [https://www.airtravelinfo.kr/687396 보스턴공항 주기 중이던 일본항공 소속 B787 화재]
* [[1월 8일]], [https://www.airtravelinfo.kr/687548 보스턴공항에 출발 준비 중이던 일본항공(JAL) 소속 B787 연료 누출]
* [[1월 9일]], [[United Airlines]] B787 한대에서 전일 [[일본항공]] B787 항공기 사고 부분과 같은 형태 결함 발견
* [[1월 11일]], [[전일공수]] 소속 B787 나리타공항에서 연료 누출
* [[1월 13일]], 나리타공항에 주기 중이던 일본항공 소속 B787 항공기 연료 누출
* [[1월 16일]], 전일공수 소속 B787, 비행 중 화재(연기) 발생으로 인근 다카마쓰 공항 [[비상착륙]]
* [[7월 12일]], 영국 런던 히드로공항에 주기 중이던 [[에티오피아항공]] 소속 B787 항공기 화재
 
=== 운항 중지 ===
 
* 1월 16일, 전일공수와 일본항공은 자발적으로 B787 항공기 운항 중지 (당시까지 두 항공사는 총 24대 B787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 1월 16일, 미 연방항공청(FAA)는 미국 거점 항공사들에게 B787 기종 운항중지 명령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과전압 문제 검토 (미국으로서는 1979년 DC-10 항공기 운항중지 명령 이후 처음이었다)
* 칠레, 인도에서도 해당 기종 운항중지를 명령했고, [[카타르항공]], [[에티오피아항공]]은 자발적으로 운항을 중단하면서 1월 17일 기준 운항이 중지된 항공기는 50대에 이르렀다.
 
=== 운항 재개 ===
 
* 2013년 [[4월 19일]], 미 연방항공청(FAA)은 드림라이너 배터리 시스템 변경 조치 확인 후 비행재개를 허가했다.
 
== 사고 원인 ==
2014년 11월, 미 [[NTSB]]는 사고의 개연성 있는 원인으로 보조동력장치(APU)의 리튬이온 배터리 셀 내부 단락으로 인해 인접 셀이 영향을 받은 것을 지목했다. 인접 셀이 과열되면서 연기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배터리 셀 내부단락으로 인한 영향 방지를 위한 설계가 미흡했고 연방항공청 역시 설계 인증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각주}}
[[분류:항공기]]
[[분류:항공기]]
[[분류:항공안전]]
[[분류:항공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