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5,203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잔글 (added Category:항공사고 using HotCat)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사건 흐름 == | == 사건 흐름 == | ||
[[파일:Ana-b787-emergency-landing.jpg|섬네일|다카마쓰공항 비상착륙한 ANA B787]] | |||
사건의 발단은 가장 먼저 도입했던 일본 전일공수와 일본항공 B787 항공기였다. 2013년 전기계통 화재와 함께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전기계통 화재는 여러번 발생하면서 전기계통에 큰 결함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 사건의 발단은 가장 먼저 도입했던 일본 전일공수와 일본항공 B787 항공기였다. 2013년 전기계통 화재와 함께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전기계통 화재는 여러번 발생하면서 전기계통에 큰 결함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 ||
20번째 줄: | 21번째 줄: | ||
=== 운항 중지 === | === 운항 중지 === | ||
* 1월 16일, 전일공수와 일본항공은 자발적으로 B787 항공기 운항 중지 (당시까지 두 항공사는 총 24대 B787 항공기를 보유하고 | * 1월 16일, 전일공수와 일본항공은 자발적으로 B787 항공기 운항 중지 (당시까지 두 항공사는 총 24대 B787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17대를 보유한 [[ANA]]의 하루 비용 손실규모는 약 1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
* 1월 16일, 미 연방항공청(FAA)는 미국 거점 항공사들에게 B787 기종 운항중지 명령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과전압 문제 검토 (미국으로서는 1979년 DC-10 항공기 운항중지 명령 이후 처음이었다) | * 1월 16일, 미 연방항공청(FAA)는 미국 거점 항공사들에게 B787 기종 운항중지 명령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과전압 문제 검토 (미국으로서는 1979년 DC-10 항공기 운항중지 명령 이후 처음이었다) | ||
* 칠레, 인도에서도 해당 기종 운항중지를 명령했고, [[카타르항공]], [[에티오피아항공]]은 자발적으로 운항을 중단하면서 1월 17일 기준 운항이 중지된 항공기는 50대에 이르렀다. | * 칠레, 인도에서도 해당 기종 운항중지를 명령했고, [[카타르항공]], [[에티오피아항공]]은 자발적으로 운항을 중단하면서 [[1월 17일]] 기준 운항이 중지된 항공기는 50대에 이르렀다. | ||
=== 운항 재개 === | === 운항 재개 === | ||
29번째 줄: | 30번째 줄: | ||
== 사고 원인 == | == 사고 원인 == | ||
2014년 11월, 미 [[NTSB]]는 사고의 개연성 있는 원인으로 보조동력장치(APU)의 리튬이온 배터리 셀 내부 단락으로 인해 인접 셀이 영향을 받은 것을 지목했다. 인접 셀이 과열되면서 연기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배터리 셀 내부단락으로 인한 영향 방지를 위한 설계가 미흡했고 연방항공청 역시 설계 인증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각주}} | 2014년 11월, 미 [[NTSB]]는 사고의 개연성 있는 원인으로 [[보조동력장치]]([[APU]])의 리튬이온 배터리 셀 내부 단락으로 인해 인접 셀이 영향을 받은 것을 지목했다. 인접 셀이 과열되면서 연기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배터리 셀 내부단락으로 인한 영향 방지를 위한 설계가 미흡했고 연방항공청 역시 설계 인증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각주}} | ||
[[분류:항공기]] | [[분류:항공기]] | ||
[[분류:항공안전]] | [[분류:항공안전]] | ||
[[분류:항공사고]] | [[분류:항공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