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본 문서 : 특수:모바일차이/27298 » 특수:모바일차이/42127 » 특수:모바일차이/26795 » 특수:모바일차이/25435 » 특수:모바일차이/34621

패스트트랙: 두 판 사이의 차이

59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1일 (일)
편집 요약 없음
잔글 (added Category:출입국 using HotCat)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공항]] 당국과 [[항공사]]들은 패스트트랙 운영을 희망하고 있으나 주무부서인 국토교통부는 국민 정서상 시기상조라는 이유로 인천공항에서의 패스트트랙 운영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ref>[http://www.airtravelinfo.kr/xe/1227955 국토부, '패스트트랙' 국민 정서상 아직 시기상조]</ref>
[[공항]] 당국과 [[항공사]]들은 패스트트랙 운영을 희망하고 있으나 주무부서인 국토교통부는 국민 정서상 시기상조라는 이유로 인천공항에서의 패스트트랙 운영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ref>[http://www.airtravelinfo.kr/xe/1227955 국토부, '패스트트랙' 국민 정서상 아직 시기상조]</ref>


현재 인천공항에 [[패스트트랙]]이 운영은 되고 있지만 노약자, 장애자 등 도움이 필요한 경우나 출입국 우대카드 소지자(우수 기업 등 별도의 자격이 필요)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퍼스트클래스]], [[비즈니스클래스]] 등의 프리미엄 이용객 등도 출입국 우대카드 소지자가 아니면 이용할 수 없으며 유료 서비스도 없다.
인천공항에 [[패스트트랙]]이 운영은 되고 있지만 노약자, 장애자 등 도움이 필요한 경우나 출입국 우대카드 소지자(우수 기업 등 별도의 자격이 필요)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퍼스트클래스]], [[비즈니스클래스]] 등의 프리미엄 이용객 등도 출입국 우대카드 소지자가 아니면 이용할 수 없으며 유료 서비스도 없다.


{{각주}}
=== 상용 서비스 도입 ===
우리나라에서는 인천공항 개항 이후 상용 서비스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지만, 국민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번번히 무산됐다. 2022년 4월, [[인천공항]]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2년 만에 일상 회복 단계에 들어가면서 9월 '비즈니스 패스트트랙' 시범 운영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협의 중이다.<ref>[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384861/ 중국 일본도 하는데…인천공항 '입출국 수속 패스트트랙' 나올까]</ref>{{각주}}


[[분류:공항]]
[[분류: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