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946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미국 정치권은 이 사건을 외교적, 정치적으로 이용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레이건 정부에 큰 이득을 안겨줬다. | 미국 정치권은 이 사건을 외교적, 정치적으로 이용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레이건 정부에 큰 이득을 안겨줬다. | ||
0007편 희생자 유족들은 1993년 ICAO 최종보고서에서 밝혀진 조종사 과실에 대한 책임을 물어 서울지방법원에 대한항공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지만 헤이그 | 0007편 희생자 유족들은 1993년 ICAO 최종보고서에서 밝혀진 조종사 과실에 대한 책임을 물어 서울지방법원에 대한항공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지만 [[헤이그 의정서|헤이그협약]]에 따라 손해배상채권 시효 2년이 지나 소송에서 패소했다. 이전에 대한항공과 유족간 합의(인당 10만 달러 보상)가 있었던 점이 패소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92년 LA연방법원에 제기한 소송에서는 11명 희생자 가족이 모두 2,100만 달러를 배상 받았다. | ||
소련은 당시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였고 이 사건을 냉전시대에 조종 발생했던 격추사건 정도로 치부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를 크게 다루기 시작했고 미국에 이어 일본이 감청한 소련군 교신 내용을 공개하자 국제적인 비난에 직면했다. 이 때문에 미국과 일본은 냉전시대 정보전에서 도감청 능력과 기회를 크게 잃게 됐다. | 소련은 당시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였고 이 사건을 냉전시대에 조종 발생했던 격추사건 정도로 치부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를 크게 다루기 시작했고 미국에 이어 일본이 감청한 소련군 교신 내용을 공개하자 국제적인 비난에 직면했다. 이 때문에 미국과 일본은 냉전시대 정보전에서 도감청 능력과 기회를 크게 잃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