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본 문서 : 특수:모바일차이/53613

TCA(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두 판 사이의 차이

2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4월 25일 (목)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9조: TCA 세부 가입 절차 등
* 9조: TCA 세부 가입 절차 등


==가입 현황 (2022년 4월 기준)==
==가입 현황 (2024년 4월 기준)==


* 미국·캐나다·영국·프랑스·이탈리아·일본·대만·마카오·이집트 등 33개국
* 미국·캐나다·영국·프랑스·이탈리아·중국·일본·대만·마카오·이집트 등 33개국


중국, 러시아, 이스라엘, 인도 등은 미가입
러시아, 이스라엘, 인도, 대한민국 등은 미가입


==회원국 가입 관련 논란==
==대한민국의 회원국 가입 논란==


[[국토교통부]]와 항공사 등 국내 항공업계는 항공기 부품 등에 대한 관세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가입을 주장하고 있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TCA 가입 시 민간 항공기 개발에 있어서 정부 지원이 금지되고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 등 궁극적으로 민간 [[항공기]] 개발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에게 TCA 가입이 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TCA 불참을 결정(2018년 4월)한 바 있다.  
[[국토교통부]]와 항공사 등 국내 항공업계는 항공기 부품 등에 대한 관세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가입을 주장하고 있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TCA 가입 시 민간 항공기 개발에 있어서 정부 지원이 금지되고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 등 궁극적으로 민간 [[항공기]] 개발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에게 TCA 가입이 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TCA 불참을 결정(2018년 4월)한 바 있다.